-교촌,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수익 구조개선이 먼저…“가맹비 등 막대한 수익 가져가면서 소비자들에게 부담 전가”
![]() |
| ▲교촌치킨이 내달 3일 치킨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가맹점 수익 구조 개선을 핑계로 소비자에게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사진=newsis)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교촌치킨’(교촌F&B)이 내달 3일부터 소비자 가격을 대폭 인상하기로 하면서 내놓은 이유가 뭇매를 맞고 있다.
교촌은 가맹점의 수익 구조 악화와 임차료·인건비·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불가피하게 치킨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28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교촌치킨 본사가 가맹점과의 소득분배의 책임을 지지 않고 고물가 시대에 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켜 소비자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꼴”이라며 가격 인상계획의 철회를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교촌은 가맹점들의 수익 개선이 주된 목적이라면 소비자들에게 비용부담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수익배분구조를 명확히 공개하고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의 수익 구조개선을 통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촌은 소비자 가격을 품목별로 최저 500원에서 최대 3000원까지 인상할 계획이다. 이는 2021년 11월 이후 불과 1년 4개월 만이다.
이번 가격 인상이 되면 교촌치킨 대표메뉴인 ‘교촌 오리지날’은 기존 1만 6000원에서 1만 9000원으로, ‘교촌 허니콤보’는 2만 원에서 2만 3000원으로 가격이 껑충 뛰게 된다. 배달료까지 감안하면 치킨 1마리를 시킬 때 약 3만 원에 가까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교촌치킨은 가맹점들의 수익성과 영업환경 개선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가맹점과의 수익 구조를 개선할 생각은 아예 하지도 않은 채 제품 가격 인상에만 혈안이다”며 “가맹비, 교육비, 보증금 등으로 막대한 수익을 가져가면서 소비자들에게 비용부담을 전가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교촌치킨’의 (반)反소비자 행태는 이뿐만이 아니다. 3000원 가격 인상과 함께 배민1(배달의민족)에서 단품으로 치킨을 구매할 수 없도록 판매 중인 모든 치킨 메뉴에 치즈볼을 강제적으로 끼워 팔고 있다”며 “단건 배달 수수료가 높다 보니 가맹점들이 일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통일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소비자가 최우선이어야 할 교촌치킨은 가맹점들을 위한다는 핑계로 철저히 소비자를 ‘무시’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교촌치킨의 이러한 행보는 경쟁업체인 BBQ, BHC와도 상반된다. 두 업체는 최근 원가인상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내부적으로 가격 인상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 인상을 실시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최근 정부가 고물가로 서민 경제 부담이 우려된다며 식품, 외식업체 등에 가격 인상자제를 요청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교촌F&B’의 별도 기준 매출은 약 4988억 원으로 전년 대비(4934억 원) 소폭 상승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21년 279억 원에서 2022년 28억 원으로 급감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교촌치킨의 수익성·영업환경 악화는 원부자재·판관비 가격 인상 등으로 매출총이익이 감소한 것도 있지만 광고선전비 증가, 신사옥 신축에 막대한 영업이익 투입, 수제맥주 사업 추진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 됐음을 부정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치킨은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로 꼽히는 음식이다. 계속되는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의 부담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2014년 BBQ를 밀어내고 업계 1위를 지켜왔지만 8년 만인 2022년에 BHC치킨(5075억 원)에 밀려 업계 선두자리를 빼앗긴 원인을 냉철히 분석해야 한다”며 “소비자를 무시한 채 가격 인상을 강행한다면 소비자의 외면과 신뢰추락으로 업계 2위 자리도 위태로울 것”이라고 일갈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