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인구 고령화와 예방·건강 관리 중심의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코로나19에 따른 K-방역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기기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1일 특허청에 따르면 전체 특허출원이 지난 10년간(2011~2020년) 연평균 2.2%로 증가하는 동안 의료기기 분야 특허출원은 8.0%나 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의료기기 특허출원이 전년 대비 15.8%로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 |
| ▲ (사진=특허청) |
의료기기 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기 산업 시장 규모의 연평균 성장률은 최근 10년간(2020~2019년) 8.0%다. 2019년은 전년 대비 14.5%로 특허출원 증가율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돼 의료기기 산업 활동이 특허출원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난 10년간 세부 분야별로 보면 수술칼과 카테터 등 전통적인 의료기기인 수술치료기기 분야가 1만3534건으로 가장 많이 출원됐으나 같은 기간 증가율은 의료정보기기 분야가 연평균 19.7%로 가장 컸다.
특허청은 “의료정보기기 분야는 환자기록 관리에서부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원격진료 플랫폼 등 의료정보를 다루는 품목을 포함하는 데 스마트 헬스케어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개발 트렌드가 반영돼 높은 특허출원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만 보면 코로나19와 관련된 진료 보조장치(140.0%), 마취 호흡기기(58.8%), 의료정보기기(42.7%) 분야의 폭발적인 증가율에 힘입어 전체 출원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해당 분야에 속하는 소독 살균기와 호흡보조기,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 출원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지난 10년간 내국인이 78.6%, 외국인이 21.4%로 나타났다. 내국인의 출원 비율은 2011년 74.8%에서 2015년 77.8%, 2020년 82.1%로 늘어나 의료기기 분야에서 국내 출원인의 입지가 점진적으로 높아졌다.
최다 출원인은 10년간 총 2316건의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14개 세부 분야 중 영상진단과 생체계측, 재활 보조, 의료정보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견기업인 서울바이오시스, 바디프랜드, 오스템임플란트는 각각 진료 보조장치·치료 보조·치과기기 분야, 중소기업인 멕아이씨에스, 인트로메딕은 각각 마취 호흡·의료용 경 분야에서 1위에 올랐다.
강혜리 특허청 의료기술심사과 심사관은 “기존의 디지털 사회 전환과 맞물려 코로나19 상황이 의료기기 연구개발을 활성화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국내 의료기기 산업 경쟁력이 지식재산과 함께 강화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