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성군은 ‘사찰음식’을 지역특화 음식으로 육성하기 위해 기존 영업주 6명을 선정해 이달 10일부터 시작해 3개월 동안 집중 교육한다.
이번 특화사업은 비슬산을 둘러싼 유명 고찰 3곳과 야생식물이 자라는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제철에 담근 더덕, 도라지, 취, 두릅, 엉겅퀴 등을 장아찌로 만든다.
특히 건강에 좋은 자연식물을 재료로 만든 사찰음식을 지역특화 음식으로 집중 육성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달성만의 사찰음식 전문음식점 육성이 목적으로 (주)핀외식연구소에 위탁 대행한다.

교육은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의 총책임자로 금당사찰음식문화원 원장인 대안스님(경남 산청 금수암 주지)을 비롯 발우공양 조리이사(정재덕), 이지사찰음식문화원장(전효원), 미래외식경영부설 창업아카데미 원장(신아가)이 전수한다.
또한 사찰음식의 유래와 특징부터 약리작용, 효소, 발효음식, 현장학습, 상품화교육에 이르기까지 달성군의 다양한 식자원을 활용해 음식으로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참맛달성’의 이미지 구축과 음식관광 상품으로 브랜드화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달성군은 사찰음식에 대한 대중화와 영업주들의 인식 변화를 위해 우리나라 사찰음식의 대가인 ‘선재스님’을 특별 초청해 달성교양강좌 개최(‘11.7.7)를 실시했으며, 연잎 밥의 대가인 승원스님(대구 수성구 범어동 수도암 주지)을 초청해 관내 음식점 영업주 40여명을 대상으로 여성문화복지센터(요리강습실)에서 7.12~9.27까지 진행했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찰음식 특성화 교육을 통해 사찰음식에 대한 이해와 철학을 가진 전문 음식경영인 육성으로 사찰음식 전문식당 3개소 정도의 탄생과 사찰 음식메뉴의 보급으로 사찰음식 상업화, 대중화가 이뤄줘서 전주 비빔밥처럼 ‘달성’하면 ‘사찰음식’이 떠오를 수 있는 미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10.13~16까지 진행되는 ‘제10회 대구음식관광박람회’에 달성군 사찰음식 품평회를 개최한다. 이번에 출품되는 작품은 승원스님의 ‘사찰음식 요리강습’을 받은 영업주 32명이 120여점의 사찰음식 작품을 전시해 다양한 볼거리와 먹 거리를 보여준다.
/ 김태훈 기자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