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실련은 재벌개혁의 방안으로 재벌의 무분별한 확장 저지와 소유지배구조 개선과 공정거래법 강화를 통한 공정경쟁질서 확립, 재벌의 횡포로부터 중소기업 및 서민상권 보호 등 3대 방안을 제시했다.
각 방안별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재벌의 무분별한 확장 저지와 소유지배구조 개선>에서는 30대 기업집단 지정제도 도입해 이들 기업집단에 대해 출자총액제한제도의 도입하고 순환출자를 금지하며 지주회사 규정을 강화하는 한편 금산분리를 강화하도록 했다.
<공정거래법 강화를 통한 공정경쟁질서 확립>에 있어서는 과징금 부과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공정거래법상 재벌 조항을 전면 재정비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도입과 집단소송제의 도입, 공정위 전속고발권 폐지를 비롯해 공정거래법 개정을 통한 일감몰아주기의 방지, 과세강화를 통한 일감몰아주기의 방지 등을 제안했다.
또한 <재벌의 횡포로부터 중소기업 및 서민상권 보호>에 있어서는 재벌의 3사 집중률 30%이하 업종에 대한 진출을 금지하고 재벌의 하청업체에 대해서는 수익률을 매년 직권조사토록 제안하고 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실련은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은 경제민주화를 주장하며 그 일환으로 재벌개혁 관련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으나 각 정당이 발표하는 재벌정책을 살펴보면 구체적인 내용 없이 구호성으로 주장하거나 그 실현방안이 결여된 설익은 정책 혹은 정책의 유기성이 떨어지는 내용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어 재벌개혁의 진정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며 “재벌의 경제력 집중으로 인한 폐해는 과거부터 계속해서 발생해 왔지만 현 정부 출범이후 재벌규제 정책으로 대표되는 출총제의 폐지와 금산분리의 완화가 이루어져 그 폐해가 가속화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력 집중 실태 중 하나를 예로 들면 2011년 4월 기준 15대 재벌의 전체 계열사 수가 2007년 4월 472개사에서 2011년 4월 778개사로 4년간 306개사(64.8%)가 급증하였고 중소서민상권이 많은 비제조 및 서비스업으로의 진출이 압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결국 규제완화 이후 재벌들은 이를 악용해 몸집을 불리고 있지만 중소기업 및 서민상권은 붕괴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재벌의 경제력 집중의 폐해가 심각해지고 있음에도 각 정당이 발표하는 정책은 여전히 재벌개혁이라고 하기에는 실효성과 구체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재벌문제의 해결 없이는 한국 경제에 미래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는 “작금의 우리 현실이 재벌한테 너무 많은 힘이 집중되고 그 힘이 남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아울러 경실련은 “결국 시장은 소수 재벌의 힘에 의해 좌지우지 되고 시장경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재벌개혁은 한국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실천해 나가야만 한다”며 “이에 경실련은 총선 국면에서 진정한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한 재벌개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각 정당들이 이를 적극 수용하게 함은 물론 경제민주화를 위한 우리사회 개혁과제를 분명히 제시하고자 하며 또한 이를 통해 경제양극화를 해소하고 경제정의를 실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