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부장검사 고흥)는 가습기 살균제 제조·공급업체인 롯데마트, 코스트코코리아, 크린코퍼레이션 등 총 10개 업체와 대표이사들에 대한 수사에 나서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와 여성환경연대 등 시민단체와 병합 수사도 벌이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검찰의 움직임이 주목받는 것은 과연 과실치사 혐의로 해당업체의 형사처벌 유무에 있다.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의 심각성을 인정하면서도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피해자와 제조사 간 법적 소송으로 해결해야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기때문이다. 이에 검찰의 수사 결과는 현재 진행 중인 피해자와 제조사 간 소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검찰 측은 "해당 사건이 범죄의도가 없더라도 5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과실규모가 커 형사처벌 여부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화학제품으로 대량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은 전무하다. 이에 가습기 살균제 제조사에 대한 검찰의 사법처리 향방이 향후 유사 사건 발생 시 중요한 기준이 될 수있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는 지난해 고발 당시 공산품으로 분류돼 식품위생법이나 약사법이 아닌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일반적인 안전기준에만 적용돼 사전 허가나 승인 없이 제조 및 판매가 가능했던 것도 비극을 만든 원인이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지난달 환경보건시민연대가 집계한 조사에 따르면 52명이 사망했으며 피해건수는 총 174건에 이른다. 앞서 지난해 4월, 서울 한 병원에서 폐가 딱딱해지는 '폐 섬유화'증상을 동반한 산모가 속출하자 보건당국이 조사에 나서며 '가습기 살균제' 공포가 세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