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기획재정부·지식경제부·금융위원회 등 관련 부처에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정책지원과제 건의서'를 제출하고 선박제작금융의 활성화 및 선박보증기금의 조속한 설립,회사채 시장 안정화 조치 등의 내용을 전달했다.
건의서에 따르면 현 한국의 조선업계 현황이 그대로 드러나 지난해 1위를 가져간 중국의 예를 자세하게 다뤘다. 중국 조선업의 급성장한 배경은 정부의 전폭적인 투자 및 금융 지원책이라는 설명이다.
중국정부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라 조선사들이 어려움을 토로하자 고부가가치 선박 및 해양구조물 수출 프로젝트 지원, 단독 선박융자 프로젝트 등의 지원책을 통해 무너져가는 조선업을 일으켰다.
이와는 반대로 국내 금융권의 조선산업에 대한 여신지원책은 소극적으로 자금난의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상의는 선박제작금융 지원기관이 현 수출입은행 단독 지원에서 시중은행으로 확대되야한다고 건의했다. 이와함께 중소 조선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선박제작금융의 지원방식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3년전만 해도 수출입은행이 제작금융 지원방식을 마이너스 통장처럼 대출금을 갚으면 그만큼의 새로운 한도가 생기는 ‘회전한도’에서 ‘소진한도’로 바뀌자 실질적인 여신총액의 부피만 커졌다는 것. 이에 다시 회전한도로 돌아가는 것 역시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 건의서에는 ▲총여신한도에서 선수금지급보증분 제외 ▲선박보증기금 조속 설립 등이 포함됐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최근 우리 조선업계는 어렵게 선박 수주를 하고도 돈줄이 막혀 계약을 포기해야 하는 사례마저 속출하고 있다"면서 "중국에 버금가는 수준의 금융지원을 통해 조선사들이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