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주민자치회 "신연희 구청장은 빈민들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말라"

사회 / 이정미 / 2013-04-02 22:38:39
  • 카카오톡 보내기
신연희 구청장 "공영개발, 개발이익 사유화.외부 투기세력 차단 위한 것"
[일요주간] 서울 최대의 판자촌인 구룡마을 개발방식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강남구청 간 이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주민들 간에도 민영개발과 공영개발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1년 4월 공영개발 계획을 확정발표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전체 부지의 18%에 달하는 일부 부지(5만4000㎡)를 환지방식으로 변경하면서 시와 강남구청 간에 갈등이 촉발됐다.

급기야 신연희 강남구청장이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가 일부 환지방식을 결정한 개발계획은 공영개발의 취지에 맞지 않다“고 강력 반발했다.

신 구청장은 "개발이익 사유화 특혜논란 방지와 외부 투기세력 차단 등을 위해서는 공영개발에 의한 수용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SH공사가 제시했음에도 시 도시계획위원회가 강남구와 협의 없이 환지방식을 일방적으로 추가했다"며 시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러나 민영개발을 지지하는 700여명의 주민들은 지난 1일 오전 강남구청을 항의 방문, 보상금 대신 개발이 끝난 뒤 토지를 지급하는 방식인 환지방식을 거부하고 있는 신 구청장을 강력하게 성토했다.

구룡마을 주민자치회는 이날 “신연희 구청장의 일관성 없는 행정으로 우리 주민들은 피가 마르고 있다”며 “반성 없이 빈민들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는 신 구청장을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주민자치회와의 면담을 피한 채, 소수모임들의 사람들만 만나 정책협의회의 대표를 시켜 주겠다는 등의 회유를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자치회는 또 “신 구청장은 ‘환지방식은 일부 토지주들의 주장’이라고 하는데 사실이 아니다”고 전제하고 “지난해 1월 18일 공영개발 도시개발구역지정 공람공고에서 주민 1957명(전체 주민 약 2300명)이 ‘환지적용’ 요청을 한 상태”다고 밝혔다.

반면 공영개발 지지 주민들은 원주민들을 위해 공영개발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투기세력에 강력하게 맞서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서울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꼽히는 구룡마을은 지난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도시 미관사업의 일환으로 도심에서 밀려난 철거민들이 모여 지금의 마을이 형성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