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 이 원 기자] 4대강 비리 의혹 정황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번엔 4대강 수질개선 사업인 ‘총인(Total Phosphorus)처리사업 입찰’에 참여한 코오롱워터텍(주)이 지방자치단체·조달청 관련 공무원들과 심의위원 등에 10억 원 상당의 현금 로비 정황이 문서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해당 현금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간 환경부 소관 총인사업 입찰에 참여하면서 휴가비·명절 떡값·준공 대가 등의 명목으로 관련 공무원들은 물론 공정거래위원회와 환경부 등 정부기관에까지 제공됐다는 것. 이번 현금 로비 정황이 큰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유야무야된 ‘4대강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이다.
현금 로비 의혹에 놓인 코오롱워터텍(주)은 코오롱 이웅열 회장이 80%의 지분을 소유한 자회사로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이목을 받아왔다. 이 회사의 성장에 큰 영향을 가져다 준 것은 바로 4대강 수질개선 사업으로 불리는 ‘총인 처리사업’을 대거 수주하면서 부터다. 총인이란 하천과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녹조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총인 처리 사업의 심사의원은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등의 내부위원과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돼 정부는 해당 사업에 5천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17일 민주통합당 우원식 의원이 입수해 공개한 이 회사의 문건(영업비 현금 집행 내역-워터텍, 2009년~2011년)을 살펴보면 총 43개에 달하는 프로젝트 별 현금집행 내역이 기록돼있다.
프로젝트 ‘진주총인’의 경우, 심의위원들에게는 1,200만원을, 지자체 관계자들엔 2억1,350만원 등 총 2억2,550만원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프로젝트 총 공급가액인 33억5,000만원의 6.7%에 달하는 금액이다. 뿐만 아니라 해당 표에서 알 수 있듯 2011년 8월엔 4,000만원,12월엔 5,000만원, 그리고 12월 이후엔 1억 원이 집행예정이라는 표시도 나와있었다.
‘경산총인’과 ‘춘천총인’도 별반 다를 바 없었다. 프로젝트 ‘경산총인’의 경우 심의위원들에게 1,200만원, 지자체 관계자에 5,000만원을 포함 총 6200만원을 전달했고 ‘춘천총인’ 역시 총 공급가액의 6.8%에 달하는 2억6,800만원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춘천총인’의 경우 공법사 선정 시 공헌한 명목으로 1,000만원을 또한 낙찰률이 93%에 달하는 계약담당자에게는 3,00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해당 프로젝트 역시 2011년까지 추가 집행이 적게는 100만원에서 많게는 2,200만원까지 지급했으며 해당 표에는 프로젝트 별 현금 집행자와 거래 선이 명확히 분리돼 한국환경공단 감독관과 담당과장, 감리담당 등에 떡 값 등의 명목으로 전달한 정황도 확인됐다.
해당 문건에는 전국 7개의 지방 조달청도 등장했다. 총인사업 관할 담당 조달청 이름을 명기하며 조달청 계약담당 직원에게 적게는 500만원에서 많게는 2,000만원에 이르는 ‘휴가비’를 지급한 것도 드러났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바로 ‘기타항목’이다. 여기에 공정거래위원회 측은 물론 담당부처인 환경부와의 회동을 통한 수상한 내역이 드러난 것. ‘공정위 관련’이라고 표기된 부분에는 2,100만원, ‘환경부 등’으로 표기된 부분에는 3,300만원, ‘골프접대’ 등으로 3,470만원을 집행했다.

결국 해당 문건의 지급 내역을 합산해보면 코오롱워터텍(주)이 모두 43개 프로젝트 및 기타항목에서 10억312만5,000원을 집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원식 의원은 “이미 앞선 국정감사(2012년)에서 총인사업의 담합 과정이 고발된 상태”라며 “감사원의 감사가 진행 중인 만큼 해당 공공기관 및 지자체 등의 비리를 규명하고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와 추가적인 국정조사가 뒷받침 되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우 의원의 이 같은 발표에 코오롱워터텍(주) 홍보실은 “아직까지 확인된 바 없으며 사실관계가 파악 중”이라고 전했다.
이로써 공사를 수주한 기업에서 수십억 원 대 현금 로비 정황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검찰과 경찰의 수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