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기업 실적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한국경제 전체 실적에서 삼성그룹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지만 법인세 납부 비중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 | ||
| ▲ 출처 : 국회 박원석 의원실 | ||
법인세는 재무재표 상 영업이익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기준으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당기순이익 비중 이상이어야한다는 것이다.
박 의원실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보면 재무재표상 법인세 비용은 8.41%에 불과하나 실제 법인세 부담액을 기준으로 산정하면 10.86%로 조금 더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25만개 중소기업을 포함한 흑자기업 전체의 평균 유효세율이 17.13% 이상임을 감안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의 법인세를 납부할 뿐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삼성그룹이 과도한 공제감면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5년 간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이 총 6조 7,113억 원에 달한다. 이는 이 기간 중 납부한 법인세 7조 8,435억 원 대비 86%, 법인세 부담액 총 9조 3,709억 원의 72%에 달하는 금액이다.
삼성그룹의 이같은 혜택은 정부의 근거없는 비즈니스 플랜들리 정책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박 의원은 “정부는 지난 8월 이후 기업의 법인세 부담 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기업이 돈을 더 많이 벌었지만 소득세는 개인들이 더 많이 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정부의 이같은 정책 기조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장하는 조세형평성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또 “정부가 맹목적인 비즈니스 플랜들리만 고집하면서 근로자들과 영세자영업자에게 세금 부담을 늘리게 된다면 결국 국민적 조세저항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며 “삼성그룹 등 재벌 기업들은 자신의 경제력에 걸맞는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며, 이를 위한 세법 개정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