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5일 박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통해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논란으로 자신의 하야를 촉구한 첫 미사였던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을 우회적으로 겨냥한 발언으로 모두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날 박 대통령은 연평도 포격 3주기에 대해 “지금 정부가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영토를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안보부터 튼튼히 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도발을 감행한다면 즉각 단호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의지를 드러냈다.
시국미사에 대한 발언은 ‘국론 분열’에 대한 우려로 표현됐다. 박 대통령은 안보를 강조하는 맥락으로서 ‘첨단 무기’보다 ‘국민들의 애국심과 단결’이 더욱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지금 국내외의 혼란과 분열을 야기하는 행동들이 많다”며 “저와 정부는 국민들의 신뢰를 저하시키고 분열을 야기하는 이런 일들은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단호한 입장을 내비쳤다.
이번 시국미사에서 논란이 된 박창신 신부의 연평도 포격 발언이 곧 ‘혼란과 분열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규정, 이를 우회적으로 비판함과 동시에 언짢은 심기를 그대로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한 촛불집회와 시국선언, 야권과 결합한 연석회의 등 그간 다양한 목소리들이 터져 나왔지만 ‘노코멘트’로 일관해왔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변화된 의중이 강경발언으로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국의 냉전 분위기에는 오히려 찬물을 끼얹었다는 평이 흘러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의 이날 발언으로 야당의 반발이 더욱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야당과 여당은 그동안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의혹에 대해 특검 도입을 두고 갈등을 내비치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날도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극적 회담을 성사시키긴 했으나 서로의 입장차로 성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갈등을 무마해야할 국가최고경영자로서의 대통령이 오히려 갈등의 씨앗을 던져준 셈이 됐다. 26일 김한길 대표는 원내대책회의를 통해 “무섭다”는 말로 심경을 전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의 말을 빗대 “그 말씀이 오히려 더 큰 혼란과 분열을 불러오지 않을까 걱정이다”며 “더 큰 혼란과 분열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들리기도 해서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청와대와 여당의 강경 대응에 대해 “과민반응”이라며 선을 그었다. 여당과 국방부, 국무총리와 대통령이 연이어 집중포화를 하고 있다며 그는 “시국미사와 관련해서 국민은 차분한데 박근혜 정권만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본질을 빗겨간 말단의 문제에 마치 적대국가에 선전포고하듯 강경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어 전 원내대표는 그 의도가 “특검요구를 회피하기 위한 물타기”이자 “보수세력을 결집”시키려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또 “이런 편협한 태도가 국민을 분열시키고 오히려 정국을 다 냉각시키는 것은 아닌지 청와대와 정부와 여당은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정의당도 남은 4년 임기를 억압으로 끌고 간다는 판단은 ‘오산’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심상정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한 사제의 발언이 지나침이 있다고 해서 대한민국 전체가 나설 일은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독선으로 정치를 대신하고 불통으로 야당 무시하고 시민사회, 종교계까지 억압함으로써 남은 4년 끌고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라며 “지금 대한민국의 갈등과 대결을 부추기는 중심에 다름 아닌 청와대와 박근혜 대통령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지적해두고자 한다”고 비판했다.
진보당도 현안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적으로 비판하며 “한마디로 ‘입 다물고 있으라’는 경고이자 선전포고”라고 평했다.
홍성규 대변인은 “‘국내외의 혼란’은 지난 대선의 불법부정선거로부터 촉발되었으며,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국민들에 대한 무차별적인 마녀사냥과 종북공세야 말로 ‘분열’의 씨앗”이라며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는 말은 오히려 “국민들이 대통령에게 해야할 소리”라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