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더해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도 거듭 규모가 확대되는 모양새다. 찬반클릭에서 댓글로, 댓글에서 트위터로, 5만건에서 121만건으로, 다시 2200만건으로 기하급수적인 팽창을 하고 있다.
눈덩이 같이 불어난 의혹에 그동안 ‘개인적 일탈’로 선을 그어왔던 국정원과 청와대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채동욱 찍어내기, 배후는 청와대?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의혹은 <조선일보>가 조간신문 1면에 단독 보도하면서부터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채 전 총장 측은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면서 법적 대응으로 맞서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왔지만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감찰을 지시하자 결국 총장직을 사퇴했다.
채 전 총장의 사퇴로 논란도 일단락되는가 싶었지만 최근 그의 혼외자로 지목된 아동의 신상정보를 알아보도록 지시한 배후가 청와대 행정관으로 지목, 검찰 수사가 진행되자 논란도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청와대 총무비서관실의 조오영 행정관이 조이제 서초구 행정지원국장에게 채동욱 혼외아들 개인정보를 의뢰했고, 조 국장은 서초구정 OK민원센터에서 아동의 주민등록번호 등을 통해 가족관계 등록부를 열람한 후 다시 조오영 행정관에게 보고했다.
청와대는 이에 “조 행정관의 개인적 일탈행위”라고 규정하며 청와대 배후설을 부인했다. 청와대 측은 조 행정관의 배후 인물로 안전행정부 김모 국장을 지목했다.
하지만 당사자인 김 국장은 청와대의 발표에 난색을 표하며 강하게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6일 아침 조 행정관을 소환조사하는 한편 김 국장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배후인물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대선개입 트위터, 검찰 수사가 따라가지 못할 양?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들이 퍼 나른 트위터 글도 121만 건이 아닌 2200만 건으로 불어났다. <한겨레>는 검찰이 수사 인력의 한계와 재판 일정 등의 이유로 대선개입 여부가 파악된 121만 건에 대해서만 공소장 변경에 포함했다고 보도했다.
5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에서 검찰은 국정원 안보 5팀 직원들이 사용한 계정 2270개를 추가로 확인했고, 해당 계정에서 2200만 건의 글이 확산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즉 국정원 직원들이 사용한 계정은 총 2653개 이며, 검찰이 선거·정치 개입 글로 우선 파악한 383개 계정 외에도 2270개의 계정도 추가로 수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두 사건 맞물려…野 공세 수위 높인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 혼외자 ‘청와대 배후설’과 국정원 트위터 글이 2200만 건으로 10배 넘게 불어나면서 국정원과 청와대를 향한 야당의 비판 수위도 거세지고 있다.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에 대해 줄곧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와 진상규명을 요구해왔던 민주당은 6일 브리핑을 통해 “개인 일탈 타령을 하다가 국가 전체의 궤도가 이탈할 지경”이라고 청와대의 해명을 강하게 비난했다.
‘개인적 일탈’로 치부, 꼬리 자르기라는 것이다. 배재정 대변인은 “청와대는 꼬리를 자르고 싶은 모양”이라며 “이 사건은 현 정부 몸통이 전 정부 깃털들을 이용한 사건이다. 검찰이 깃털만 뽑지 말고 몸통까지 파고들지 국민들께서 지켜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배 대변인은 또 “거짓말은 더 큰 거짓말을 낳는다. 호미로 막을 것 가래로도 못 막는다는 말,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재정 대변인은 국정원 트윗글과 관련해서도 “퍼내고 퍼내도 그 끝이 보이지 않는 화수분 같다”며 “특검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2200만 건이 전부가 아닐 지도 모른다면서 그는 “그나마 밝혀진 건수에 대해서도 제대로 수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반드시 사건의 마지막 한 오라기 진상까지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SNS에 퍼진 글들을 소개하며 박근혜 정부의 ‘개인적 일탈 시리즈’에 냉소와 비판이 쏟아지는 등 국민적 비웃음거리가 되고 있다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국정원 여직원 사건, 군 사이버사령부 대선개입, 국정원 심리전단 대선개입에 이어 채동욱 전 총장 뒷조사도 결국 꼬리자르기 의도라는 것이다.
박 원내대변인은 “청와대는 석연찮은 변명을 일삼아서 국민적 조소거리가 되지 말고, 진실규명을 위한 특검을 받아들여서 청와대의 품격과 권위를 하루속히 회복하기 바란다”고 일갈했다.
정의당도 특검수용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이지안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검찰이 분석한 글은 그중 5%의 글이라고 하니 지난 대선, 국정원의 댓글놀이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는지 그저 망연자실할 뿐”이라고 밝혔다.
수사가 진행되지 않은 2200만 건에 대한 전수분석이 이뤄져야 하나 재판부가 추가 공소장 변경 신청을 거부, 검찰의 추가 수사가 불가능한 상황임을 언급한 그는 “특검을 반드시 도입해야할 이유가 또 하나 추가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