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신헌 롯데쇼핑 대표이사 ⓒNewsis | ||
롯데홈쇼핑 납품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서영민)가 신 사장을 14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에 따르면 신 사장은 2008년~2012년 롯데홈쇼핑 대표로 재직할 당시 회사 임직원들이 TV홈쇼핑 편의 제공 등의 명목으로 챙긴 수십억원대의 회사 자금 일부를 상납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신 사장이 정기적으로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상납 받은 회삿돈의 정확한 금액과 사용처와 정·관계 로비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신 대표는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돈을 받은 적은 있지만 이를 지시하거나 요구한 적은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납품업체로부터 9억원의 금품을 수수한 롯데홈쇼핑 이모(47) 전 생활본부장과 2억7,0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수수한 정모(44) 전 MD를 구속하고, 인테리어 공사비 등 6억 5,000만원을 횡령한 혐의로 김모(50) 고객지원본부장과 이모(50) 방송본부장를 구속한 바 있다.
한편 롯데카드의 고객정보 유출 사건의 여진이 현재도 계속되는 가운데 납품비리까지 터지자 자연스럽게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지난 2011년 롯데그룹 회장으로 취임한 신 회장은 그동안 그룹 사장단회의 때마다 윤리경영과 부정 비리 척결을 강조해왔다.
신 회장은 임직원들의 잘못된 행동이나 언행이 그룹의 이미지와 신뢰를 손상시키고 회사와 고객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롯데홈쇼핑 납품비리에 신헌 롯데백화점 사장과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측근까지 연루됐다는 의혹이 일자 신 회장의 강조하던 ‘윤리경영’이 공염불에 그칠 위기에 봉착했다.
올해 초 롯데홈쇼핑이 국세청으로부터 세금탈루 등의 혐의로 600억 원대의 추징금을 부과 받는가 하면, 롯데카드에서는 2600만 명에 달하는 고객정보가 유출 된 것으로 들어나 물의를 빚었다.
이어 제2롯데월드의 사망사고, 롯데홈쇼핑 임직원 납품비리 등 메가톤급 사건이 이어지며 롯데그룹은 그야말로 사면초과 상태다.
일각에서는 신 회장이 몸집불리기를 통한 롯데그룹의 외형 확장에 주력하면서 정작 내부 조직 문화엔 신경 쓰지 못한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신 사장의 비리 가담 혐의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신 회장의 대외적 이미지는 물론 자존심에도 치명타를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신 사장은 그룹내 최초의 공채 출신 최고경영자(CEO)로 신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게다가 신 사장은 신 회장의 아버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최측근이기도 하다.
평소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신 회장은 롯데홈쇼핑 납품비리를 보고받은 후 격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 일어났다며 그룹 차원에서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만간 롯데그룹의 내부감사를 담당하는 롯데정책본부 개선실이 롯데홈쇼핑에 대한 감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일련의 사태들로 신 회장의 리더십 위기설이 대두된 가운데 그가 어떠한 윤리경영과 내실경영으로 이 난관을 빠져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