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김종인, '경제심판론' 고리로 안보정국 정면 돌파...중도층 표심 '타깃'

정치 / 최종문 기자 / 2016-03-03 17:28:22
  • 카카오톡 보내기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경제민주화로 상징되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자신의 주종목인 경제를 부각시키며 ‘경제심판론’에 불을 지피는 모양새다.

김 대표는 이같은 행보의 첫 신호탄으로 당내 반발을 무릅쓰고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전격 중단 시켰다. 이는 이념 논쟁은 결국 여권의 안보 프레임에 말려들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대신 ‘김종인표 경제정책’으로 총선 정국에서 주도권을 거머쥐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이같은 선거 전략의 일환으로 박근혜정부의 경제실정을 부각시키며 자신의 경제민주화 정책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3일 국회에서 열린 ‘달리는 정책의자’ 발대식에서 김 대표는 현 정부의 아킬레스건인 국가부채를 겨냥해 “이명박정부 때 국가부채는 100조 원 이상이었고 박근혜정부 3년 동안 160조 원 이상의 국가부채가 발생했다”며 보수정권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가계부채, 국가부채, 기업부채를 모두 합하면 우리나라는 부채공화국이나 다름없다”며 “언젠가는 이것이 폭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대표는 “더민주가 경제를 살릴 수 있는 대안 세력이 되겠다”면서 “총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양극화와 불균형을 시정하고 우리 경제의 틀을 다시 정상화 시키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지난 2일 더민주 총선정책공약단은 ‘777플랜(쓰리세븐 플랜)’을 제시했다. 이 플랜의 핵심은 대기업 등 우리사회 상류층에 쏠려있는 과도한 소득을 혁신해 국민총소득 대비 가계소득 비중과 노동소득분배율을 각각 70% 대로 높여 중산층 비중을 70% 대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더민주는 부자감세만 철회해도 재원조달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통적 지지세력을 결집시키는 것은 물론 중도층의 표심도 끌어안겠다는 포석이 깔려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