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대규모 집회를 하던 화물연대가 집중투쟁을 중단하고 지부별 투쟁으로 선회했다. 이를 두고 화물연대가 내부적으로 파업 동력을 상실한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3일 노동계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는 지난 10일부터 이어온 부산 대규모 집회를 중단하고 지부별 투쟁으로 전환해 파업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화물연대 부산지부 350명과 위수탁지부 100명은 이날 오전 부산신항 삼거리에 집결해 예정대로 집회를 열 계획이지만 다른 지부는 부산에서의 집중투쟁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경지부 180명과 포항지부 180명, 울산지부 300명, 대전지부 30명 등 4개 지부가 귀향해 지역별 투쟁에 나서기로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지부는 투쟁 동력을 잃을 것을 우려해 다른 지역으로 옮겨 대규모 투쟁을 계속 이어갈지를 고심했다는 후문이다.
화물연대가 집중 투쟁을 포기함에 따라 부산에 집결해 있던 타지역 지부의 동요와 파업 동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집중투쟁 사흘만에 이같이 파업수위를 낮춘 배경에는 시간이 갈수록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참여율이 오히려 떨어지면서 '파업 효과'가 가시화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많다.
실제로 화물연대는 시위현장에서 조합원 이탈 등으로 인해 집회참여 강도가 약화되는 등 집단행동 동력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는게 정부의 시각이다.
전날 국토부가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대표적인 업체인 CTCA(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 운송위원회) 소속 15개사와 일반운송업체 77개사의 8377명을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운송 미참여자는 10일 1426명, 11일 919명에서 12일에는 891명으로 계속 감소했다.
특히 12일에는 집단운송거부 참여가 많지 않아 물류차질이 크지 않았고, 비화물연대 운전자의 운송거부 동조 움직임도 없는 것으로 국토부는 파악했다.
전국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평시 대비 106%인 6만4868TEU로 지난 11일 5만4407TEU 비해 19.21% 증가했고,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도 58.6%(54만736TEU)로 양호한 편으로 특히 부산항의 경우 통상 85%에 이르면 차질이 발생하는데 67.6% 수준으로 양호했다.
집중 투쟁 방식으로 정부를 압박하려한 화물연대의 계산이 들어맞지 않게 된 것이다.
정부의 강경대응 원칙도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파업참여율을 떨어뜨리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줬다.
국토부는 화물연대가 파업 명분으로 주장해온 '8·30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 대책' 철회가 명분없는 주장에 불과한 것으로 일축하고 재협상 불가라는 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했다.
파업 참여시 운송거부행위라는 점을 들어 유가보조금을 지원하지 않기로 한 국토부의 방침도 상당수 조합원들에게 부담을 줬다.
유관기관도 화물연대의 파업 동력을 떨어뜨렸다.
부산경찰청은 지난 10일부터 사흘 동안 화물연대 조합원 46명을 검거, 이중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등 엄벌 의지를 보였다. 경찰은 또 화물연대가 부산신항 도로를 점거하자 우회로를 확보하는 등 운송차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 지원했다.
부산광역시는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와 관련하여 부산광역시 소관 민자도로(광안대로, 백양터널, 수정산터널, 을숙도 대교, 부산항 대교)의 통행료를 한시적으로 면제했다.
노동계에서는 전날 밤 현대차 노조가 3개월 간 벌여온 파업을 접고 임금협상을 잠정합의한 것도 화물연대의 파업에 찬물을 끼얹은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다른 노조의 추가 연대파업이 불투명하다는 점이 화물연대의 파업동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노동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와 화물연대 외에 추가로 다른 노조에서 연대파업을 지원해야 파업 효과가 있는데 후속으로 파업을 이어갈 만한 노조가 없는 분위기"라며 "파업을 장기국면으로 끌고 가는건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