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구경회 기자] 비선실세 의혹을 조사하고 있는 특별검사팀이 늦어도 2월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규철 특검보는 17일 브리핑을 통해 "시기를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늦어도 2월 초순까지는 (박 대통령 대면조사를)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이어 "만일 대면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는 현재 강제로 대면조사 할 방법은 사실상 없다고 판단된다"며 "그에 대한 특별한 대책과 관련해서는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2월28일 1차 수사기한이 마무리되는 점 등을 고려해 이 같은 방침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수사기한 연장이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조속히 박 대통령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것이다.
현재 특검팀은 이재용(49)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해 뇌물공여 등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박 대통령을 사실상 뇌물수수자로 판단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에게 뇌물죄를 묻기 위한 과제로 꼽히던 최순실(61·구속기소)씨와 박 대통령의 '경제 공동체' 여부 입증 작업도 상당 부분 마무리됐다는 게 특검팀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삼성 이외에 사면 의혹 등이 불거진 SK·CJ·롯데그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 수사도 현재 박 대통령을 겨냥하고 있다. 이날 소환한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5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을 상대로 박 대통령의 개입 여부도 추궁한다는 방침이다.
세월호 7시간 의혹과 맞닿아 있는 박 대통령의 비선진료 의혹 역시 이날 김영재 원장을 소환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 원장은 세월호 침몰 참사 당시 박 대통령에게 향정신성의약품을 주사했다는 의혹으로 이른바 '세월호 7시간'을 규명하기 위한 핵심 인물로 지목된다.
특검팀은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를 한 차례로 끝낸다는 방침을 세운 만큼, 관련 의혹들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한 이후 박 대통령에 대한 조사 일정 조율에 나설 예정이다.
이 특검보는 "박 대통령이 지난번에 대면조사에 응한다는 취지로 말씀을 했기 때문에 조사에 응할 것으로 본다"며 "대통령 대면조사와 관련해 사전접촉이나 조율은 아직 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