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김청현 기자] 서울시 지하철 삼각지역 인근에 들어서는 '역세권 2030 청년주택' 1호의 월 임대료가 1인 가구 기준 12만~38만원에 책정됐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청년주택 운영자문위원회를 통해 용산구 한강로2가에 공급하는 역세권 청년주택 1호 총 1086세대(민간임대 763세대, 공공임대 323세대)의 1인당 월 임대료를 12만~38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은 역세권의 체계적인 개발로 청년주택 공급을 촉진해 청년세대의 주거안정을 도모하는 사업입니다.
이에 따라 청년주택 1인당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전용49㎡(3인셰어)의 경우 2840만·29만원~7116만·12만원에 책정됐다. 전용 39㎡(2인셰어)는 3750만·35만원~8814만·15만원이다. 전용 19㎡(1인단독)는 3950만·38만원~9485만·6만원 등이다.
서울시는 역세권 임대료 시세 전수조사와 국토교통부 및 통계청 자료 등을 통해 임대료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고가 임대료를 차단하기 위해 '5대 지원대책'도 마련했다.
5대 지원대책은 ▲임대보증금 비율 최소 30%이상 의무화 ▲공유주택(셰어하우스) 개념 적극 도입 ▲강남권과 도심권 등 고가임대료 지역에 소형주택 공급 ▲저소득 청소년 임대보증금 최대 4500만원 무이자 지원 ▲청년 커뮤니티시설 확보 등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역세권 청년주택은 주거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안정된 공간을 제공할 것"이라며 "우리의 미래인 청년에게 투자하는 것이 서울시의 최우선 과제인만큼 모든 역량을 집중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