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2021년 전수점검 결과 조치건수 5309건 중 87.1% 부식, 균열 등 노후화
-강은미 의원 “산업단지 노후화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는 노동자, 주민 안전 위협”
![]() |
| ▲강은미 의원.(사진=newsis)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소방청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했던 ‘대량위험물 제조소 등 보유사업장 전수검사’ 비공개 결과보고서가 공개됐다.
15일 정의당 강은미 의원이 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입수해 공개한 해당 자료에 따르면 소방청은 2018년 고양 저유소 화재사건 이후 대량위험물 제조, 보유 사업장 413개와 사업장 내의 제조소 등 1만 269개소를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진행했다. 이 중 2019년~2021년 실시한 검사대상 7914개 제조소 중 적발대상 제조소 등은 4020개로 51%에 달했고 조치건수는 5309건으로 나타났다.
조치건 수 5309 건 중 설비의 최초시공 이후 운영에 있어서 균열, 부식, 이탈 등 설비 노후화에 대한 건전성 미흡이 4626건으로 나타났고 이 중 70%는 노후산단에서 지적됐다.
이와 관련해 강은미 의원은 “지난 5년 간 전국 1257개 산업단지 중 산업단지공단이 관할하는 64개 산단에서 발생한 중대사고 133건 중 74건이 화재, 폭발, 누출사고였다“며 “얼마 전 7명이 중상을 입은 울산 SK지오센트릭 사고, 올해 초 여천NCC 폭발사고에서 보이듯 대량 위험물을 보유한 노후화학단지에서 일어나는 화재, 폭발, 누출사고는 곧바로 대형 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 |
| ▲자료=강은미 의원실. |
이에 대해 소방청은 “대규모 위험물 산업단지의 경우 기공시기가 오래된 점을 고려해 시설의 노후화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됨”이라고 보고서에 적시했다. 그 외에도 안전관리자의 전문성 부족, 행위기준 준수 부족 등을 지적했다.
강 의원은 “오는 27일 노후설비의 관리·감독 책임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도 부여하는 노후설비 특별법을 발의할 예정이다”며 “하반기 국회에서 노동자, 지역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노후산단 대책이 반드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