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방과학연구소. (사진=국방과학연구소) |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국방과학연구소(ADD)는 물체 고유의 분광 정보를 활용한 항공 정찰용 초분광 영상기반 표적식별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ADD에 따르면 초분광 영상기반 표적식별 기술은 육안으로 형태를 구분하기 힘든 표적도 분광신호를 분석해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최첨단 전자광학 기술이다.
표적이 위장되거나 표적 형태의 일부분이 감추어진 경우는 물론 형태는 유사하지만 오폭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한 적의 모의 표적과 실제표적을 구분할 수 있어 항공 정찰 표적 식별 능력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ADD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항공기 탑재용 초분광 기술 연구를 방위사업청의 핵심기술사업으로 진행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했던 분광소자와 검출기 등 다수의 주요 구성품을 국내 기술로 확보했다.
또 초분광 기술을 항공정찰체계에 적용하기 위해 항공기 장착 시 요구되는 환경조건을 충족하는 시제품을 제작, 내구성 점검을 위한 환경시험을 차질 없이 이행했다. 아울러 항공 촬영 시험을 포함한 기능·성능시험 등 개발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ADD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군사용 초분광 영상기반 표적식별 기술이 국산 감시정찰체계에 실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이는 기존 정찰체계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개념의 표적 식별 기술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