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상률 폭등 수준...서비스·품질은 뒷걸음질”

e산업 / 이수근 기자 / 2022-09-06 14:49:31
  • 카카오톡 보내기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테슬라 올해만 5번째 국내 판매가격 인상
-모델Y, 전년 대비 2666만 원 올라…품질 개선 없어 소비자만 ‘봉’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니켈 등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기차 가격도 오르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테슬라코리아가 서비스와 품질 개선엔 뒷전인 채 차량 가격만 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사진=newsis)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전기차 전문 제조사 테슬라 코리아의 차량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올해만 벌써 다섯 번째 국내 판매가격 인상이다보니 일부 소비자들은 “시가(市價) 테슬라”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가격 인상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7월, 테슬라 코리아는 모델3 롱레인지와 모델Y 롱레인지·퍼포먼스 트림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인상 후 판매가는 모델3 롱레인지 8470만 원, 모델Y 롱레인지 9665만 원, 퍼포먼스 1억 473만 원 등이다. 지난 2021년부터 지금까지 인상 폭은 모델3 롱레인지 5999만 원 ▶ 8469만 원(2470만 원, 41% 증가), 모델3 퍼포먼스 7479만 원 ▶ 9418만 원(1939만 원, 26% 증가), 모델Y 퍼포먼스 7999만 원 ▶ 1억 473만 원(2474만 원, 31%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그렇다고 품질이나 옵션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도 아니다. 오히려 최근 보조 기능 장치인 ‘오토파일럿’ 오작동으로 미국에서 집단소송에 휘말리는 등 지속적인 품질문제가 거론되고 있다”며 “테슬라는 차량 가격만 올릴 것이 아니라, 안전과 품질 개선이 우선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테슬라의 가격 인상에 소비자 반응도 냉담하다. 전기차 동호회와 일부 누리꾼들은 수천만 원에 달하는 차값을 순식간에 올리는 상황을 두고 ‘놀랍지도 않다’, ‘허탈하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자료=소비자주권시민회의.

 

테슬라의 인상률은 국내 타 완성체 업체와 비교해도 차이가 매우 크다. 국산 전기차 현대 아이오닉5 스탠다드 모델의 경우 2021년 대비 6.6% 증가했고, 롱레인지 트림은 약 7.9% 인상해 평균 370만 원 정도만 올랐다. 아우디 e-트론도 2021년식 가격 대비 인상률은 14만 원(0.12% 증가)에 불과하다. 

 

테슬라의 가격 인상 배경에는 원자재값 상승과 공급 부족 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그렇다 해도 다른 완성차 업체와 비교해 테슬라만 유독 수천만 원이 넘는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테슬라의 행보가 마진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며 “후속 신차가 없는 상황에서 라이벌 전기차 등장으로 점유율 감소와 경영 실적 하락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실적 부진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대당 마진률을 높여 이익을 내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면서 “가격 인상 후 차량의 품질이 높아지거나 눈에 띄게 기능이 변화한 것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자료=소비자주권시민회의.

 

지난 2월,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조사한 결과, 테슬라의 도어 관련 결함은 1870건으로 나타났고, 교통안전공단 제공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제작 공정상의 문제점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미국에서는 자율주행 보조 기능 장치인 오토파일럿이 오작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행 중 급제동 문제로 집단소송에 휘말렸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가격은 천정부지로 높아졌지만, 품질문제는 여전히 다양화·지속화되고 있다”며 “서비스 인프라도 엉망이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기준 3위 업체지만 서비스센터는 단 9곳에 불과하다(8월 기준)”고 밝혔다.


이어 “자동차는 고가 소비재인 만큼 한번 올린 가격을 쉽게 내릴 수 없다. 막무가내식 가격 인상은 기존 연식 별 감가상각 등 다양한 이해변수가 작용해 큰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테슬라는 가격 인상이 아닌 품질 및 소비자 인프라 개선을 우선 시행해야 한다. 소비자 안전과 불편·불만을 외면한 채 터무니없이 차량 가격만 높인다면 강력한 불매운동에 직면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