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국내 기술자료 中에 유출…중소기업 기술 멋대로 유용

e산업 / 조무정 기자 / 2022-04-18 17:05:54
  • 카카오톡 보내기
“다른 사업자서 받아 보유한 기술도 하도급법 보호 대상”
▲(사진=newsis)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수급사업자로부터 받은 다른 사업자의 기술자료를 중국 내 협력 업체로 유출한 삼성SDI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공정위는 수급사업자 A로부터 다른 사업자 B의 기술자료를 받아 중국 내 협력 업체에 제공하고, 기술자료를 요구하면서 법에서 정한 기술자료 요구 서면을 교부하지 않은 삼성SDI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억 70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삼성SDI는 2018년 5월 18일 중국 내 법인의 현지 협력 업체로부터 요청받고 A가 보유하던 B의 기술인 운송용 트레이 도면을 중국 현지 협력 업체에 제공했다.

삼성SDI는 A가 작성해 소유한 기술자료를 취득한 경우에만 하도급법 적용 대상이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정위는 하도급법의 목적과 법 문언상 의미, 다양한 거래 현실(다층적 거래관계·기술자료의 교환 또는 공유 필요성·소유와 보유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 존재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란 수급사업자가 작성(소유)한 기술자료에 한정된다고 볼 수 없고, 수급사업자가 보유(매매·사용권·사용 허락 등을 통해 보유)한 기술자료도 포함된다고 판단했다.

 

▲(사진=공정거래위원회)


특히 원사업자의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를 방지하고자 하는 하도급법 취지를 고려하면 수급사업자가 소유한 기술자료로 좁게 볼 필요가 없고, 이러한 행위가 중소업체들의 기술혁신 의지를 봉쇄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므로 수급사업자가 보유한 기술자료까지 두텁게 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봤다.

또 삼성SDI는 2015년 8월 4일부터 2017년 2월 23일까지 8개 수급사업자에게 이차전지 제조 등과 관련한 부품의 제조를 위탁하면서 이를 납품받는 과정에서 해당 부품의 제작이나 운송(트레이)과 관련한 기술자료 16건을 요구하면서 사전에 기술자료 요구 서면을 교부하지 않았다.


공정위는 삼성SDI가 기술자료 16건을 요구한 행위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자료를 통해 다른 부품 등과의 물리적·기능적 정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등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봤지만, 법정 사항에 대해 사전 협의해 기재한 서면을 교부하지 않은 점에서 위법하다고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수급사업자가 직접 작성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사업자를 통해 보유하게 된 기술자료도 법상 기술자료 요건에 해당한다면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로 판단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수급사업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받아 보유한 기술자료 또한 하도급법 보호 대상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고, 그러한 기술자료를 취득해 유용한 행위가 위법이라는 인식을 분명하게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동안 감시가 소홀했던 수급사업자 보유의 기술자료에 대해 원사업자가 부당하게 요구하거나 이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