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 "현대차그룹 정의선 집 앞이 성역인가"...'받아쓰기' 언론 보도 비판

사회 / 최종문 기자 / 2024-11-20 14:11:26
  • 카카오톡 보내기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 활동 비난 보도 도배…"반론권 전무, 정의선 감싸기 급급한 언론"
▲ 현대트랜시스 노조 주택가 시위. (사진=newsis)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전국금속노동조합 충남지부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의 노조 활동이 ‘민폐 시위’라는 제목으로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된 것과 관련해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지난 18일 정의선 집 앞이 성역인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 같은 언론 보도 내용을 비판했다.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정의선 회장 자택 앞에서 진행된 지회의 피케팅 등 노조 활동이 ‘민폐’라며 주민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는 내용이다. 모든 보도 내용과 사진이 천편일률적이다”며 “사진 역시 회사 제공이다. 현장 취재 기자가 한 명도 없었다는 증거다.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이 ‘보도 로비’를 하고 언론이 ‘받아쓰기’하지 않고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폐 시위’라는 것은 없다. 시위와 집회는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것이다. 한국은 집회신고제 국가다.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절차에 따라 집회를 신고하고 진행했다”며 “이 활동에 불법이 있다면 불법을 짚어라. 단지 ‘됐고 시위는 그냥 싫다’는 논조로 보도하는 행태는 저널리즘과 민주주의를 해하는 행위다”고 꼬집었다.

◇ 트랜시스서산지회 “집회 시위는 민폐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시위는 본질적으로 불편을 발생시킨다. 힘없는 약자는 군중으로 모여야만 주장을 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장소에 모이면 교통 및 생산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는 방해를 받는다”며 “약자들은 또 이를 수단으로 삼아 주장의 관철을 시도한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기본 장치다. 다양한 사회적 구성원의 의견 표출과 개진이 없으면 그것은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다. 집회 시위는 민폐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민폐는 과연 누가 끼치고 있는가.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정의선 회장 자택 인근에서 피케팅을 진행했다. 정 회장은 현대자동차 계열사에 대해 최종 결정 권한을 가진다. 최종 권한자를 향한 의견 표출 당연한 일이다”며 “규탄 대상으로 삼은 정 회장은 2023년 계열사로부터 122억 원의 연봉을 받았다. 또 여수동 현대트랜시스 대표이사의 2022년 연봉은 전년 대비 56%가 인상됐다. 재벌 총수와 경영진이 모든 부를 독점하고 노동자들에게는 재갈을 물리는 ‘민폐’는 누가 끼치고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언론을 향해 “사회적 부의 재분배 관점에서 이 사안을 고민이라도 해본 적은 있는가”라며 “(언론은) 양재동 보도자료 받아쓰기 그만하고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의 이야기를 듣고, 현장을 보고, 직접 취재하라”고 일갈했다.
 

◇ 현대트랜시스-현대트랜시스서산 노조 지난 6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 (임단협) 교섭 진행

 

앞서 지난 8일 현대트랜시스 노조원 10여 명은 전날 아침 서울 용산구 한남동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자택 인근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동원한 시위를 벌였다. 


지난해 성과급을 요구하면서 촉발된 현대트랜시스 노조의 집회와 시위는 지난달 26일과 28일, 29일에 이어 이번이 4번째다.

현대트랜시스에 따르면 현대트랜시스서산지회는 지난 6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 (임단협) 교섭을 진행해왔으나 노조가 기본급 15만 9800원 인상(정기승급분 제외)과 전년도 매출액의 2% 성과급 지급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한편 현대트랜시스 자회사 현대트라닉스지회는 오는 21일 오전 10시 30분 고용노동부 서산출장소 앞에서 ‘트라닉스, 노동조합 탄압 위한 부당노동행위 고소’ 기자회견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현대차 그룹 생산 전문 계열사’를 표방하며 지난 2023년 4월 10일 출범한 트라닉스(파워트레인 제조 전문)는 현대트랜시스가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