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한국어 떼창'과 한국어의 UN공용어 지정 [허준혁 한 방]

칼럼 / 허준혁 칼럼니스트 / 2023-09-21 23:23:36
  • 카카오톡 보내기
▲ 허준혁 UN피스코 사무총장

 

[일요주간 = 허준혁 칼럼니스트] 한국인의 '떼창(singalong)' 문화가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K공연문화를 이끌고 있다. 전세계 어디를 가든 K팝 스타들의 공연장에서는 ‘떼창’이 울려 퍼지고 있는 것이다. 제 25 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세계 155개국 4만여 명의 단원들이 K팝 스타들과 함께 월드컵 경기장을 뒤흔든 '한국어 떼창'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전세계인들은 K팝 공연장에서의 떼창 문화를 경이롭게 바라본다. 한국인들은 공연장 뿐만아니라 야구장, 축구장 등 스포츠 경기장에서도 관중들이 지역마다 각팀의 응원주제곡들을 떼창으로 부르며 운동장이 떠나갈 듯 응원을 한다.

서양의 고전공연은 엄숙하게 듣고 박수를 치는 것이 참여의 전부이다. 반면 우리의 전통공연은 소리꾼의 공연과 청중의 추임새가 하나가 된다. 공연전에 청중들과 추임새를 먼저 연습으로 합을 맞추고 시작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이렇듯 우리의 공연문화는 예로부터 '메기고(call) 받는(response) 형식'이 많다. 한 사람이 메기고 여러 사람이 받는 형식이다. '아리랑' '쾌지나 칭칭나네' '옹헤야' '강강술래' 등 대부분의 국악과 민요가 이러한 형식이다.

"됐어(됐어!) 됐어(됐어!) 이제 그런 가르침은 됐어(됐어!) 그걸로 족해(족해!)" 문화대통령 서태지가 "됐어"하면 청중들은 "됐어!" 하며 따라 부르는 '교실이데아'도 메기고 받는 형식이다.

가왕 조용필이 "기도하는~" 하고 선창하면 청중들의 "꺄악~"하는 호응이 노래의 일부가 된 '비련'과 월드스타 싸이의 '강남스타일', 가황 나훈아가 만들고 강진이 부른 '땡벌' 등 메기고 받는 형식은 장르불문이다.

미리 공부해서 따라 부르는 떼창은, 세계인들이 한국어와 한글을 더욱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든다. 좋아하는 팝송들을 한글로 받아 적어 외우며 불렀던 것이 지난날 젊은 청춘들이었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 팝송을 배우기도 했다. 이소룡의 영화 대사를 한글로 적어 고양이 소리와 함께 흉내냈던 것 역시 지난날 우리 젊은이들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 각국의 젊은이들이 한글로 된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K팝의 한국어 가사를 외워 떼창을 하며 열광하고 있다. 어렵다는 한국어를 쉽게 배우는 데, 그리고 떼창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 소리 한 글자'인 한글이 있다는게 우리에겐 더없는 축복이다.

현재 유엔의 공용어는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6개이다. 1973년 아랍어가 유엔공용어에 포함된 뒤 50년째 유지되고 있다. 세계인들의 K팝 '한국어 떼창'은 한국어와 한글의 UN공용화를 위한 또 다른 기회이다.

세계각국의 청년들로 하여금 한국어 떼창을 부르게 만드는 K팝 스타들은, 한국어와 한글을 가장 쉽고 빠르게 세계화할 수 있는 최고의 홍보대사이다. 또한 세계 각국 K팝 팬클럽의 활동에 따른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각국 국민들의 익숙함과 학습효과는, 참가국들이 모인 총회를 거쳐 결정되는 UN공용어 지정에도 최강의 자산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허준혁 칼럼니스트

허준혁 칼럼니스트

sf.mbctv@gmail.com 다른기사 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