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SK텔레콤과 KT는 새롭게 출시될 '아이폰5'에 대해 LTE폰으로 간주해 LTE요금제 로만 가입이 가능토록하겠다고 밝혔다. '아이폰5'의 국내 출시 전 LTE서비스 이용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내 이통사들과 주파수가 맞자 바로 LTE가입으로 유도하는 것은 '이통사 횡포'나 다름 없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특히 '아이폰5'를 기다려온 매니아들은 3세대(3G)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사용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요금제가 비싼 LTE요금제 이동을 결정하기가 쉽지않다.
해외의 경우 LTE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소비자들이 LTE와 3G망을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다.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 이에 ;아이폰5'의 국내 출시를 기다려온 매니아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양사의 행태를 놓고 "아이폰 5에 LTE요금제 지원을 강제할 경우 라이벌 사인 삼성의 갤럭시S3의 저가 판매전략에 밀려 국내 매니아들로 부터 외면 당할 수 있다" 고 지적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