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5주기' 위기고조 속 "대북전단 살포 중단"...남북관계 전망은?

People / 김시원 / 2015-03-24 10:14:43
  • 카카오톡 보내기
ⓒNewsis
[김시원 기자] 천안함 폭침 사건 5주기를 앞두고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했던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대북전단 살포를 조건부 중단하겠다고 23일 밝혔다.

한미합동군사훈련 개시로 이미 냉각기에 접어든 남북관계가 대북전단 살포로 더욱 악화되는 것을 우려한 판단으로 풀이 된다.

박 대표는 이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분간은 대북전단을 살포하지 않겠다는 의향을 내비췄다. 다만 북한이 '천안함 폭침'을 자신들이 한 행위라고 인정하고 사과할 경우라는 단서를 달았다.

앞서 지난 2일 북한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우리군이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시작하면서 남북의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졌다.

북한은 이번 군사훈련이 '북침 전쟁연습'이라고 반발하며 단거리 탄도 미사일까지 발사하는 등 노골적인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천안함 폭침 사건 5주기인 26일 박 대표가 속한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5개 탈북자단체들은 군사분계선 일대에 대북전단 50만 장을 보내겠다고 예고했다.

이들 단체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의 DVD와 USB도 5천개씩 살포할 계획도 덧붙였다.

이미 북한은 지난해 10월 이들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사격을 가하며 "경고없는 무차별적 기구소멸작전에 들어갈 것"이라며 무력 사용 방침을 공언해왔다.

특히 우리 군의 맞대응을 겨냥한 듯 "만약 우리의 자위적 조치에 '지원세력타격' 등의 도전을 한다면 그 즉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2차, 3차의 연속적인 징벌 타격전이 개시될 것"이라며 강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해 10월 10일 경기도 연천 인근 비무장지대서 날린 대북전단 풍선을 향해 13.5mm 고사총을 10여 차례 발포한 바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대북전단에 대한 북한의 강경 대응 방침에 따라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의 돌발 사태가 우려되는 만큼 당국이 나서 예방조치를 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