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해 102를 나타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의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보통 100이상이면 과거 평균치(2003~2014년)보다 낙관적으로 100 이하면 비관적으로 보는 소비자가 많다.
CCSI는 지난해 4분기부터 100초반 대에 머물며 등락을 거듭하다 4월(104), 5월(105)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6월 ‘메르스’ 사태로 인해 99로 떨어져 2012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00을 하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현재 CCSI는 지난달부터 소폭 회복세를 나타내고는 있지만 아직 메르스 사태 직전인 5월 수준으로는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동향지수 6개 항목 중에서 현재생활형편은 1포인트 상승한 반면 생활형편전망 부문은 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수입전망은 100으로 전월과 같으며 소비지출전망은 106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6개의 주요지수 중 가계 재정상황 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현재생활형편CSI는 90으로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 생활현평전망CSI는 98로 1포인트 하락했다. 또 가계수입전망은 100으로 지난달과 같은 수치를 보였으며 소비지출전망은 106으로 전달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물가수준전망 지수는 132로 1포인트 떨어졌고 주택가격전망 지수와 임금수준 지수는 각각 116으로 3포인트씩 하락했다.
이에 대해 장윤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조사역은 “메르스의 실질적 종식과 함께 정부의 추가 경정예산 편성, 광복 기념 임시공휴일 지정 등 적극적 소비진작 정책으로 현재 경기 판단 관련 지수가 크게 올랐다”며 “하지만 중국 경기 둔화나 위안화 절하 등의 외부요인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지면서 전망 관련 지수의 상승폭은 제한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 변화에 대한 인식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5%로 0.1%포인트의 하락 수치를 보였다. 기대인플레이션은 2∼6월 5개월째 2.5%에 머물다가 7월에 0.1%포인트 상승했으나 이달 들어 다시 제자리 수준으로 복귀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는 공공요금(61.0%), 집세(43.1%), 공업제품(31.2%)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