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임선영 다음카카오 이사와 유봉석 네이버 이사. ⓒNewsis
[일요주간= 최종문 기자] 포털 뉴스의 불공정성을 제기한 새누리당 지적에 대해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측은 지난 9일 “인위적인 뉴스 편집은 없다”고 반박했다.
이 같은 포털의 적극적인 해명은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의 의뢰로 진행된 서강대 최형우 교수팀의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 화면 빅테이터 분석 보고서’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네이버와 다음 등의 포털이 청와대와 여당에 대해 부정적 표현을 사용한 뉴스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노출했다는 게 보고서 분석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역시 최고위원 중진연석회의를 통해 “국민 80%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고 젊은 층의 포털 의존도가 절대적인 상황에서 다음 같은 일부 포털이 뉴스 구성에 있어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기존 언론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원회는 “해당 보고서가 객관적·과학적 방법에 의해 작성됐는지 현재로서는 확인하기 어렵다”며 “네이버는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 제목을 자체적으로 편집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어서 “네이버뉴스 편집에 대한 보다 높은 수준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 산하에 ‘실시간 편집 모니터링단’을 두는 방안 등을 다음 회의 때 추가 논의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카카오 측도 새누리당의 의혹에 적극 반박했다.
다음카카오는 “제목 변경은 언론사 고유 권한으로 포털이 제목을 변경할 때는 레이아웃에 맞춰 글자 수 축약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히며 “(변경 시) 제목 및 기사가 본래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조정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포털 입장 편에 선 새정치민주연합도 새누리당의 독재적 발상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새정치연합 의원은 “여당 대표는 기술발전에 따른 정보통신시스템과 싸우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포털 장악을 하려는 정부ㆍ여당은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강력 비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