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is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이 22일 밝힌 국토교통부의 제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4년 6개월간 수하물 분실 건수는 아시아나가 238건, 대한항공 105건, 진에어 59건, 제주항공 50건, 이스타항공 39건, 에어부산이 22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승객 1,000명 당 발생 건수로 살펴보면 아시아나 항공과 진에어가 0.005건으로 가장 많은 수치를 보였고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각각 0.003건, 대한항공과 에어부산이 0.001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2012년부터 올 6월까지의 3년 6개월간 수하물 파손 건수는 대한항공이 3만 1,000여건, 아시아나항공 2만 2,000여건, 제주항공 5,000여건, 진에어·에어부산 각 3,000여건, 이스타항공이 1,000여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다시 승객 1,000명당 발생 건수로 살펴보면 대한항공이 0.64건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아시아나항공이 0.59건, 진에어 0.36건, 제주항공 0.31건, 에어부산 0.27건, 이스타항공이 0.12건으로 그 뒤를 따랐다.
이같이 수하물 파손 사건이 많은 것에 대해 대한항공은 “다른 국적항공사 대비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이 많고 편명을 공유하는 연결편이 많다보니 많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항공사들은 분실이나 파손 수화물에 대해 소비자에게 배상금 지불 조치를 취하고 있다. 다만 그 배상액은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 의원은 “수하물 분실이나 파손 사건이 매년 늘고 있다”고 지적하며 “승객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수하물 운송에 주의를 기울이는 한편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해결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