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졸속추진 논란..."과도한 홍보에 소비자만 피멍"

e산업 / 박정석 / 2015-10-06 10:54:07
  • 카카오톡 보내기
[일요주간=박정석 기자] 대규모 할인행사인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흉내 낸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 주관으로 지난 1일부터 시작됐다. 이 행사는 침체된 내수 진작과 소비활성화 유도 및 관광산업 발전 도모를 위해 오는 14일까지 2주간 개최되는데 벌써부터 졸속추진 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일부 참여업체들이 가격을 부풀린 후 할인율을 적용해 실제 가격인하 효과가 없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산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자료를 분석한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오영식 의원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의 준비기간이 너무 짧아 졸속으로 추진됐다”고 지적했다. 실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준비기간이 1.5개월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행사참여주체들에게 행사참여신청 요청이 행사 시작 일주일 전에야 발송되는 등 준비과정이 졸속으로 이루어졌다.

이번 행사에는 백화점·대형마트·편의점 등 2만 6,000여개 점포와 200여개의 전통시장, 온라인 유통업체 등이 참여했다. 이들 업체들은 50~70%의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50~70%의 할인율이 적용된 제품은 극소수인데다 대부분의 제품은 가을 정기세일 수준의 할인에 그치고 있다. 이렇다 보니 50~70%의 할인제품은 소비자를 유혹하기 위한 미끼상품에 지나지 않는 셈.

오 의원은 “일부 제품의 경우 정가가 부풀려진 후 할인이 적용돼 실제 할인효과가 거의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오 의원이 밝힌 실제 사례에 따르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제품으로 판매한 한 TV 제품은 정가가 172만 원으로 할인가 96만 원에 판매됐는데 다른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78만 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이외에도 모 대형마트의 경우 정가가 1,290원인 초코과자를 고작 90원 할인한 1,200원에 내놓기도 했다.

이와 관련 오 의원은 “한국과 미국의 유통구조가 달라 애초부터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와 같은 대규모 할인 행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고 지적하며 “가을정기세일 정도 수준의 행사를 마치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규모로 과도하게 홍보한 산업부의 탁상행정이 큰 문제”라고 질타했다.

한편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홍보하기 위해 개설된 사이트 구축비용도 도마에 올랐다.
홍보사이트 구축비용이 과도하게 지불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운영기간이 2주밖에 안되고 단순한 구조로 돼 있음에도 구축 및 운영비용에만 1,500만 원이 소요됐다.

또한 홈페이지에서 행사에 참여중인 전통시장의 할인 내역이나 홍보 이벤트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3단계를 거쳐 파일을 다운받은 후에야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