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온실가스 배출권이 가격이 공급에 비해 수요가 넘치는 현상으로 지난해에만 61%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배출권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검토 방안에 나섰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배출권 가격은 지난해 연초 1만2000원으로 시작해 연말 1만9300원에 마감해 1년 사이 61%의 가격 급등 현상을 보였다.
특히 작년 5월 23일 배출권 가격은 2만1000원까지 치솟았다. 배출권 제출 시기를 앞두고 공급 부족 심화 전망이 고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잉여배출권 물량의 시장 출회 및 정부 예비분 공급으로 시장심리가 안정되며 중간에 가격 조정이 이뤄졌다.
정부는 2015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할 권리를 사고팔 수 있는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그해 1월 한국거래소에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이 개설됐다.
지난해 배출권 가격이 급등한 주된 원인은 배출권이 부족해 사겠다는 기업만 있을 뿐 여유가 있어서 팔겠다는 기업은 없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작년 배출권 거래량은 총 510만7657t으로 전년(124만2097t)보다 311% 늘었다. 1년 동안 4배 이상으로 불었다.
이렇게 배출권의 가격과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배출권 거래대금은 전년 대비 552% 증가한 906억원으로 집계됐다. 배출권 종류별로 보면 할당배출권 약 444억원, 상쇄배출권 약 341억원, 외부사업감축권 약 119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할당배출권이란 기업이 정부에서 직접 할당받은 온실가스 배출권이다. 상쇄배출권은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가 외부 배출시설 등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한 경우 이에 대한 실적을 인증받아 배출권으로 전환한 것을 지칭한다. 외부감축사업배출권은 배출권거래제 대상이 아닌 기업이나 시설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이를 배출권으로 인정받는 것을 말한다.
작년 업종별 배출권 거래 비중을 보면 발전·에너지 업종이 전체 거래량 중 42.7%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폐기물(16.3%), 석유화학(9.9%), 수도(6.3%), 비철금속(5.2%) 순이었다.
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임재준 상무는 "배출권 가격이 지난해 공급 물량 부족 등으로 최고 2만원을 돌파하기도 했다"며 "올해 배출권 경매시스템을 구축하고, 배출권 보유업체 참여 유도를 통한 유동성 확보 및 국제 연계사업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