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금융감독원의 ‘자산운용회사의 2016년 중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펀드수탁고, 투자일임계약고, 설정액 기준)은 전년 말(819조원) 대비 99조원(10.8%) 증가하면서 사상최대치인 907조원에 이르렀다.
이 가운데 펀드수탁고는 469조원으로 전년 말(422조원) 대비 48조원(11.3%) 증가했다.
공모펀드 수탁고는 220조원으로, 주식형펀드가 7조1000억원 감소했으나, 채권과 머니마켓펀드(MMF)가 4조9000억원씩 증가하면서 전년 말(22조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반면에 사모펀드 수탁고는 250조원으로 채권과 부동산, 특별자산 펀드가 각각 13조8000억원, 10조5000억원, 7조9000억원 늘면서 전년 말(200조원) 대비 50조원(24.6%) 늘었다.
투자일임계약고는 438조원으로 채권과 부동산 관련 계약고가 각각 27조7000억원, 4조5000억원 늘면서 전년 말(397조원) 대비 41조원(10.3%) 증가했다.
수탁고가 늘면서 지난해 자산운용회사의 순이익은 사상최대인 6674억원으로 전년(4955억원) 대비 34.7%(1719억원) 늘었다.
이는 운용자산 증가에 따른 수수료 수익 증가(2125억원)와 일부 대형사의 영업외수익 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회사별로 보면 165개사 중 흑자를 기록한 회사는 108개사(65.5%)로, 93개사 중 73개사가 흑자를 기록한 전년도(78.5%)에 비해 흑자회사 비율이 13%p 하락했다.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의 경우 총 91개사 중 43개사(47.3%)가 흑자를 기록했으며, 48개사(52.7%)는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 자산운용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4.5%로 전년도(13.2%)에 비해 1.3%p 상승했으며, 순이익 증가에 따라 2013년 10.6%, 2014년 11.3% 등 수익성이 지속 개선되는 추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자산운용회사의 수수료수익은 1조9490억원으로 전년도(1조7365억원) 대비 12.2%(2125억원) 증가했다.
펀드수탁고 및 투자일임계약고의 증가로 펀드관련 수수료 및 일임자문수수료가 각각 12.2%(1592억원), 12.3%(533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고유재산을 운용해 발생한 증권투자이익은 653억원으로 전년(680억원) 대비 4.0%(27억원) 감소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1조1729억원으로 전년(1조157억원) 대비 1573억원(15.3%) 증가했다.
이는 회사수(+72사) 및 임직원수(+1141명) 증가에 따른 임직원 급여가 932억원(16.7%)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은 “저금리 기조 지속에 따라 사모펀드 수탁고 및 투자일임계약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과 순이익이 사상최대를 기록하는 등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전문사모운용사를 중심으로 한 신규진입 증가와 이로 인한 경쟁심화로 적자회사가 증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향후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등 대내외적 리스크 요인이 잠재돼 있고, 타 금융산업과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금감원은 특정 국가·자산으로의 쏠림현상 등 자산운용시장의 리스크 요인에 대한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신설 자산운용사 등 수익기반 취약 회사의 재무건전성 및 내부통제 적정성에 대한 상시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