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거부, 소비자 기만하는 ‘현대자동차’

People / 김바울 / 2017-04-27 15:39:07
  • 카카오톡 보내기
네티즌 “소비자 안전보단 자신들 이익 급급” 비판
▲ 국토교통부가 지난 20일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를 열어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불량 문제로 LF쏘나타 수만 대에 대해 현대차에 지난 26일 리콜을 통보했지만 회사 측은 “안전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사안”이라며 리콜 명령을 거부했다.

차량결함 내부 제보로 촉발 ‘점입가경’
“정부, 조사결과 수용할 수 없다”논란
회사측 “청문회 절차밟아 해명 하겠다”


[일요주간=김바울 기자] 내부 제보로 촉발된 현대자동차의 차량 결함 논란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0일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를 열어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불량 문제로 LF쏘나타 수만 대에 대해 현대차에 지난 26일 리콜을 통보했지만 회사 측은 “안전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사안”이라며 리콜 명령을 거부했다.

이처럼 현대차가 국토부의 조사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정부는 ‘행정절차법’에 따라 내달 8일 청문절차를 거쳐 강제리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대·기아차에 대한 일련의 리콜 조치는 김광호 전 현대차 부장이 지난해 8~10월 “현대차가 자동차 제작 과정 결함 32건을 알고도 시정하지 않는 위법을 저질렀다”며 미국 도로교통안전국과 국토부 등에 자료를 전달한 것이 계기가 됐다.

LF쏘나타 문제도 현대차 김 전 부장이 제보한 32건의 결함 의심 사례 가운데 하나로 이번에 심사평가위원회에 상정된 안건은 LF쏘나타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결함과 아반떼·i30·쏘나타의 MDPS(전동식 조향 장치) 결함 등 5건이었다.

이 5건은 아반떼 등 3차종 진공파이프 손상현상을 비롯해 모하비 허브너트 풀림현상, 제네시스, 에쿠스 캐니스터 통기저항 과다, 산타페 등 5차종 R엔진 연료호스 손상현상, 소나타 등 3차종 주차브레이크 문제 등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토부의 5건의 리콜 요구와 관련해 “(정부의) 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안전문제가 아닌 만큼 무작정 리콜에 나서기 보다는 청문회라는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해명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선 “안전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만에 하나 발생할지도 모를 사고에 대해 현대차가 소비자 안전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에 급급해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yd***라는 아이디를 가진 네티즌은 “소비자를 봉으로 아는 현대차를 사야 되는지. 현대차가 무슨 배짱으로 버티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추후 결함이 발생해 사고가 나야 고치겠다는 것인지 소비자들의 안전은 무시됐다”고 비판했다.

youn****라는 아이디를 가진 네티즌은 “제가 봤을 때 한국이라서 그런 것 같아요. 현대차는 미국이나 유럽 쪽은 아무 말 못하고 다 리콜 해주고 그리고 한국에 없는 녹 보증도 해주고, 아마 한국이라서 그런 것 같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솔직히 독일차도 다 똑 같아요...결함 생기면 다 은폐 하려고 하지 소비자만 호갱, 벤츠가 제일 완성도 좋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내부 제보로 촉발된 차량 결함 논란이 앞으로 어떤 종지부를 찍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는 이번 논란으로 기업의 이미지 실추는 피할 수 없게 됐다.

한편 현대차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1조2천508억원을 기록했다. 당기 순이익도 20.5% 하락한 1조4천57억원을 기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