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법원 등에 따르면 정씨는 덴마크 구치소에 구금된 동안 독일생활 조력자로 알려진 데이비드 윤씨, 국내에 있는 변호인 등에게 편지를 보내 덴마크 정부의 송환 결정에 불복하기 위한 소송에 필요한 자료를 모아달라고 요구했다.
정씨는 지난 1월 1일 불법체류 혐의로 덴마크 경찰에 체포된 뒤 올보르 구치소에서 구금 생활을 시작했으며, 지난 2월 국내에 있는 변호인에게 “한국 감옥의 열악한 인권에 대한 자료를 보내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정씨는 이 외 국내의 다른 지인에게도 ‘한국 감옥의 열악함’, ‘한국 강압수사 등 문제가 된 모든 자료’ 등을 요청했다.
정씨는 한국 감옥에 대해 ‘이름이 아닌 번호로 불린다, 정해진 죄수복을 입는다, 한 방에 너무 많은 사람이 있다, 방 안에 화장실이 있다, 뜨거운 물이 항상 나오지 않는다, 빨래는 직접 손으로 해야 한다,방 안에서 빨래를 말린다’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열거했다. 이와 반대로 정씨가 생활했던 덴마크 구치소는 책상, TV, 냉장고 등이 갖춰져 있었고 심지어 피자를 주문해 먹을 수도 있는 등 국내 수용시설보다 생활 측면에서 훨씬 자유로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씨는 지난 달 귀국하면서 "아무것도 모른다"는 주장을 되풀이해 온 것과는 반대로 작성한 편지 내용에서 국내 정치상황에 대한 높은 이해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도 여럿 발견됐다. 그는 최순실 씨의 비서 안 모씨 등에게 보낸 편지에서 “박영수 특검팀이 편파수사를 한다고 주장해야 한다”면서 “‘특검이 야당성향을 가졌다’는 아주 작은 보도라도 모아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목은 최순실 씨가 ‘특검이 강압·편파수사를 한다’고 주장했던 것과 일치해 검찰은 정씨가 최씨와도 지속적으로 입을 맞춰 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정씨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벗어난 수사라고 해야하기 위해서”라는 내용의 글도 쓰는 등 법률용어에 대해서도 잘 숙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씨는 지난 20일 이 같은 '송환 거부 작전'에 대한 취재진 물음에 "(현지) 변호사가 정보를 알아야 변론을 할 수 있다고 말해 변호인이 하는 말을 제가 받아 적고, 그것을 한국 측에 보내서 정보를 좀 달라고 한 것이다"고 해명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