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장관 “세대·소득별 맞춤 정책역량 집중”

e산업 / 이재윤 기자 / 2017-06-26 17:59:50
  • 카카오톡 보내기
첫 정책 현장 서민임대주택 방문…공적임대 매년 17만호 공급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월세 비율이 높아져 고통 받는 서민들의 설움을 달래는 것이 최고의 정책 과제”라고 강조했다.

[일요주간=이재윤 기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월세 비율이 높아져 고통 받는 서민들의 설움을 달래는 것이 최고의 정책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세대·소득별 맞춤 정책을 통해 주거복지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없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26일 취임 후 첫 현장 방문지로 동대문구 휘경동 청년 전세임대주택과 광진구 자양동 매입임대주택 등 서민임대주택을 방문해 “세대·소득별 맞춤 정책을 통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정책 역량을 집중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은 지난 23일 취임 이후 최초의 외부 일정으로 현 정부의 서민주거 안정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매년 17만 호의 공적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취업난에 힘겨워하는 청년 등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 추경을 통해 청년 및 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 4천7백호를 추가 공급하는 등 2022년까지 청년 임대주택 30만실, 신혼부부 임대주택 20만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날 김 장관은 “국민들이 편안하고 쾌적한 삶을 누리도록 따뜻하게 껴안고 세심하게 보살필 계획”이라면서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매년 17만호의 공적임대주택을 공급해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세대별·소득별 맞춤형 정책을 통해 주거복지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우선 이번 추경을 통해 청년 임대주택 30만실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 노후공공시설물의 재건축 등을 통한 셰어하우스형 청년임대주택의 사업모델을 올 하반기에 구체화하고 역세권 등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공급하는 저렴한 청년임대주택의 선도 사업을 하반기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김 장관은 이어 주거여건이 열악한 고시원에 거주하다가 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한 어르신을 방문해 “영구임대, 매입임대주택의 공급 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저소득 노인, 장애인 등에게 우선 공급하고, 기존 영구임대, 매입임대주택 등에 건강관리·문화·여가 서비스가 결합된 어르신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도 5만실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앞서 지난 19일 발표한 ‘주택시장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대응방안’도 차질 없이 이행해 부동산 투기를 근절하고 서민층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등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나갈 작정이다.

김 장관은 이날 현장 방문시 제기된 다양한 건의사항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향후 정책추진 시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앞으로 부동산 가격 과열 양상이 진정될 때까지 현장을 점검하고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해, 과열 양상이 확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추가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