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사진 중앙)에 따르면 당시 북한 당국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을 빼고 평화협상을 시작하자고 요청했다.(사진=뉴시스) |
4일 도쿄신문은 지난 6월 1~3일 한중일 전문가와 함께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비공개 협의에 참석해 북한 당국자 3명과 만난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을 인용해 이 같은 소식을 전했다.
클링너 연구원에 따르면 당시 북한 당국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을 빼고 평화협상을 시작하자고 요청했다.
북한 당국자는 미국 측에 "우리를 먼저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후 평화협정을 체결할지 전쟁을 할지 대화하자"고 제의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협상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북한 당국자는 “미국이 '적대정책'을 취하고 있다”고 여러 차례 반발하면서 "미국이 제재를 중단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클링너 연구원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 김정은이 취임한 후 이들 북한 당국자를 2차례 접촉했다. 클링너 연구원은 "북한 당국자들이 종전에 비해 자신감이 넘쳤다"고 설명했다. 또 당국자들은 미국에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하라는 요구는 했지만, 정작 비핵화에 응하겠다는 언동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클링너 연구원은 그들이 자신감에 대해 “착실히 미사일 기술을 향상하고 있는 등의 성과가 자신감을 높이는 배경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들어 북한은 실패 포함 미사일 발사 실험을 10차례나 감행했다. 그 중 고도 2000km에 달한 것도 있는 등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클링너 연구원은 관련 당사국 간 협의에 영향을 미칠 것을 고려해 북한 당국자의 신분을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그는 북한 당국자들과 만남을 가진 후 그들의 태도에서 미국이 더는 설득할 것이 없다고 판단, 귀국 후 대북 경제제재를 강화하기 위한 구체안을 트럼프 행정부에 제출했다.
이날 도쿄신문은 “지난달 30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재와 대화를 통한 단계적인 접근’ 방식으로 북한 핵문제 해결을 강조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공동성명에 ‘남북대화 재개하겠다’는 문 대통령 의지를 지지한다고 했지만, 북한은 여전히 미국만을 상대하겠다는 자세를 고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