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5년간 국세 카드 납부 대행 수수료로 782억 챙겨...8개 카드사 총 5천억 달해

e금융 / 김완재 기자 / 2023-10-05 11:52:23
  • 카카오톡 보내기
강민국 “공공재 성격 금융사가 국세 카드 납부 수수료 받아가는 것 적절치 않아”
6년여 간 국세 카드 납부액 61조 원에 카드사가 챙겨간 수수료만 4821억 원
지방세는 카드납부 수수료 없는 반면 국세는 카드사가 납세자로부터 수수료 수취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현재 지방세는 카드납부 수수료가 없는 반면에 국세는 카드납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어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6여년 간 카드로 납부한 국세가 61조 원에 카드사가 벌어들인 수수료만도 5000억 원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세 신용카드 납부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6년여(2018년~2023년 7월) 간 국세 신용카드 납부실적은 총 1579만 9905건에 납부금액만도 61조 2731억 6003만 7000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강민국 의원실 제공.


5년(2018~2022) 간 카드사별 국세 신용카드 납부 실적을 살펴보면 신한카드가 313만 9459건(10조 3704억 119만 5000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삼성카드 260만 3101건(8조 7490억 5383만 9000원), 국민카드 245만 9206건(8 조 3389억 5642만 3000원) 등의 순이다. 해당 기간 실적 건수가 가장 많았던 신한카드의 경우 납세자를 상대로 받은 납부 대행 수수료만 782억 원이었으며 8개 카드사 전체로는 4821억 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52만 10건(6조 5998억 4461만 6000원),  2019년 280만 3937건(7조 3236억 4256만 7 000원), 2020년 261만 2813건(9조 5618억 3943만 6000원), 2021년 250만 3738건(11조 9663억 2483만 8000원) , 2022년 313만 5937건(16조 4601억 4175만 1000원) 으로 지난해 카드 납부 국세 건수는 증가했으며 카드로 납부하는 국세 금액의 경우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023년 7월까지 국세 카드 납부건수 222만 3470건, 9조 3613만 6682 만 9000원)

전체 국세 납부 실적 중 카드로 납부하는 규모 역시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 5년 간 국세 납부 건수는 1억 7677만 1123건으로 이 중 카드 납부 비 중은 7.7% 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7.6%, 2019년 8.2%, 2020년 7.7%, 2021년 7.2%, 2022년 7.7%로 지난해부터 카드 납부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강민국 의원실 제공.

 

이와 관련 강민국 의원은 "문제는 이처럼 많은 국민들이 카드로 국세를 납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방세는 카드납부 수수료가 없는 반면에 국세의 경우 카드사가 납세자로부터 납부 대행 수수료(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를 수취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카드사가 벌어들이는 납부 대행 수수료 수준이 1% 미만이지만 이들이 벌어들이고 있는 수수료 규모는 엄청난 수준으로 지난 5년 간 국세 카드납부에 따른 국민들이 카드사에 지급한 수수료는 무려 총 4821억 918만 8000원에 달했다"고 전했다.

 

카드사가 벌어들이는 국세 카드 납부 수수료는 2018년 517억 5585만 3000원, 2019년 574억 5523만 2000원, 2020년 751억 6715만 2000원, 2021년 941억 4595만 3000원, 2022년 1298억 9465만 2000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2023년 7월까지 카드사 수취 수수료 736억 9034만 6000원)

강민국 의원은 "지난 5년 간 국세 카드납부 대행기관인 8개 카드사의 매출액은 총 105조 6970억 원이며 당기순이익만도 10 조 7310억 원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공공재 성격을 띠고 있는 금융사가 국민들의 국세 카드 납부 수수료까지 따박 따박 받아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세와 지방세 관련 수수료 차감 조정 권한이 있는 금융위원회가 지방세와의 형평성 차원뿐만 아니라 경기불황 속 서민경제 지원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라도 국세 카드납부 수수료 면제 또는 수수료율 인하에 대한 협의를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 및 카드업권에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