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배터리산업협회 CI.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상근부회장 박태성, 이하 협회)가 창립 27년 만에 첫 파업에 돌입하며 불공정한 인사와 임금 체계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금속일반노동조합 한국배터리산업협회/연구조합지부(이하 노조)는 19일부터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준법투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쟁은 협회 측과 지난 4개월간 진행된 임금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교섭이 결렬되면서 촉발됐다. 노조는 모든 조합원이 일괄 연차를 사용하는 방식의 쟁의행위로 첫 신호탄을 쐈다.
◇ “협상은 형식뿐…실질 권한자 없는 교섭에 무의미해져”
노조에 따르면 임단협 교섭은 지난 2월부터 총 8차례 진행됐으나, 협회는 실질적 결정 권한이 없는 임원을 교섭 테이블에 앉혔다. 특히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주관한 두 차례 조정회의에서도 같은 인물이 반복적으로 “결정 권한이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며 실질적 진전이 없었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노조는 “이는 사 측의 협상 의지가 전혀 없다는 방증”이라며 “교섭 구조 자체가 성실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1997년 ‘한국배터리연구조합’으로 출범한 협회는 2011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비영리단체로 전환돼 국내 배터리산업계를 대표해 왔다. 그러나 최근 2년 반 동안 승진 심사가 단 한 차례도 진행되지 않았고, 연봉협상은 매년 파행을 겪는 등 조직 내 운영 문제로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는 “성과와 노고는 평가받지 못하고, 인사와 보상이 직원 길들이기의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현 경영진 부임 이후 약 30%에 달하는 직원이 조직을 떠났다”고 주장했다.
◇ 노조 “승진·성과급 체계 개편 촉구”…3대 핵심 요구안 제시
노조는 이번 투쟁을 통해 세 가지 핵심 요구안을 제시했다. ▲연 1회 정기 승진 심사 및 규정화 ▲2년간 지연된 승진 심사에 대한 소급 적용 ▲성과급 지급기준 변경 및 예산 내 최대 지급 등이 그 내용이다.
노조 측은 “승진은 예측 가능한 인사 체계를 위해 반드시 정례화돼야 하며 지연된 심사에 대해서는 당연히 보상이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과급 문제에 대해서도 “기존 합의된 기준에 따라 현재 예산 내에서도 충분히 조정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이번 쟁의행위를 “조직 내 비정상적인 인사 시스템을 바로잡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회비로 운영되는 공공적 성격의 기관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되도록 회원사들의 지지와 이해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20일 오전 8시 30분과 11시 30분, 서울 강남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관 앞에서 두 차례 집회를 열 예정이다. 이후에도 기간 파업, 농성, 선전물 게시, 방송차량 운영 등 다양한 방식의 투쟁을 이어갈 방침이다.
노조는 “기본급 인상률 등 일부 조건은 양보했음에도 협회는 여전히 성과급 체계 개선에 미온적”이라며 “사측의 책임 있는 자세 전환이 없다면 투쟁 수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