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황성달 기자] 정부가 내놓은 기업들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평가가 주먹구구식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한국생산성본부의 지난해 12월 ‘기업 ESG 실태조사 및 분석’ 최종보고서를 보면 포스코는 생산성본부가 용역 개발한 ‘K-ESG’ 평가 점수에서 61.08점으로 최상위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또 포스코의 자회사인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사회’ 부문에서 21.30점으로 역시 A등급이었다.
![]() |
▲ (사진=픽사베이) |
노 의원은 “그러나 포스코는 연간 8000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 국내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12%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반 환경기업”이라며 “특히 제철소에서 나오는 쇳가루 분진 등 대기오염 피해로 인해 주민들은 만성호흡기 질환과 각종 암 등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5년 간 산재관련 법 위반사항만 7000여건, 산재 사망자 수만 43명으로 시민단체가 뽑은 ‘산재 1위’ 기업이 바로 포스코라는 것이다.
노 의원은 “지난해에는 경영 악화를 이유로 노동자들 임금은 동결하고 최정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만 십수억원의 성과금을 챙기는 등 기업 내 경영도 비도덕적이라는 지탄을 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ESG 평가 최고 등급을 준 것은 사실상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대량 학살이 일어나고 있는 미얀마 군부의 돈줄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며 “실제 미얀마 임시정부에서 최근 포스코에 대금 지급을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하는 등 포스코 인터내셔널이 반인권적 행보를 통해 수익을 추구하고 있음이 명확한데도 ESG 평가 사회부분에서 최고 등급을 준 것은 잘못된 평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 의원은 상식 밖의 평가 결과가 나온 것은 포스코가 직접 ESG 평가에 관여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생산성본부의 ‘K-ESG’ 평가 지표는 외부 전문가 자문을 통해 평가 지표의 적절성과 평가 방식 등을 정했는데 포스코 경영연구원의 수석연구원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좋은 성적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노 의원은 “온실가스 배출 1위, 산재 사망 1위 포스코가 ESG 우수 기업이라고 평가받는다는 것은 지나가는 소도 웃을 일”이라며 “정부가 진심으로 ESG 평가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시민 단체 등을 포함해 제대로 된 평가지표를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