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2040년 이전에 지구의 온도가 1.5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기존 전망치보다 10년가량 앞당겨진 것이다.
기상청은 10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 7월26일~8월6일 열린 제54차 총회에서 ‘이번 세기 중반까지 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지한다면 2021~2040년 중 1.5도 지구온난화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을 담은 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1실무그룹 보고서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IPCC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규명을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1988년)한 국제협의체다.
![]() |
▲ (사진=픽사베이) |
1.5도 지구온난화 도달 시점이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2018)에서 제시한 2030~2052년보다 앞당겨졌다.
IPCC AR6 제1실무그룹 보고서는 4종의 IPCC 평가보고서 중 가장 먼저 발간되는 보고서다. 국제사회와 각국 정부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수립에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기상청은 “이번 보고서는 올해 11월 영국에서 열릴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6차 당사국 총회(COP26)와 2023년에 시행할 첫 파리협정의 이행 점검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논의 시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보고서 승인의 의미가 매우 크다”고 했다.
보고서의 핵심 내용을 담은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은 ▲현재의 기후 상태 ▲가능한 미래 기후 ▲리스크 평가와 지역 적응을 위한 기후 정보 ▲미래 기후변화 억제 4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현재의 기후 상태 부문은 지난 제5차 평가보고서(AR5·2013) 발간 이후 새롭게 관측된 사실과 진보된 기술을 이용한 기후변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2011~2020년 전지구 지표면 온도는 1.09도 상승했다. 전지구 평균 해수면은 1901~2018년 사이 0.20m 올랐다. 해수면 평균 상승 속도는 1901~1971년 사이에는 1.3mm/년이나 2006~2018년 사이에는 3.7mm/년으로 약 2.85배 증가했다.
가능한 미래 기후 부문은 새롭게 사용되는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SS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래 기후변화를 전망했다.
SSP 시나리오는 AR6에서 처음 사용된 시나리오다. 2100년 기준 복사강제력 정도와 함께 미래 기후변화 대비 수준에 따라 인구, 경제, 토지이용, 에너지사용 등의 미래 사회경제 상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적용한 시나리오를 말한다.
산업화 이전 대비 2081~2100년의 전지구 지표면 온도는 온실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시나리오(SSP1-1.9)일 때 1.0~1.8도,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시나리오(SSP5-8.5)일 때 3.3~5.7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1995~2014년 대비 2100년까지의 전지구 평균 해수면은 온실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시나리오(SSP1-1.9)일 때 0.28~0.55m,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시나리오(SSP5-8.5)일 때 0.63~1.01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산업화 이전 시기 50년에 한 번 발생했던 수준의 극한고온(폭염 등)은 1.5도 지구온난화 도달 시에 빈도는 8.6배 증가하고, 강도는 2.0도 강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리스크 평가와 지역 적응을 위한 기후 정보 부문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새롭게 기후영향인자(CIDs)를 정의하고, 지역별 미래 기후영향인자 변화를 전망했다.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폭염 등 더위 관련 기후영향인자가 증가하고, 호우와 홍수 또한 강화되고 빈번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기후영향인자별 미래 변화 정보는 동아시아 등 전 세계 61개 기준 지역에 대해 지역별 리스크 평가와 적응 계획 수립에 활용된다.
미래 기후변화 억제 부문은 탄소중립을 통한 누적 CO2 배출량 제한과 메탄 등 다른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강력한 감축만이 온난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앞으로 IPCC는 제2실무그룹 보고서를 내년 2월, 제3실무그룹 보고서를 3월, 종합보고서를 9월 중 승인할 예정이다.
기상청은 국내 차원의 과학적 근거로 ‘남한 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올해 12월 발표해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이번 승인을 계기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의 과학적 근거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며 “기상청은 탄소중립의 과학적 근거를 담은 이번 보고서가 국내 정책에 연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