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조무정 기자] 조달청과 특허청은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혁신지향 공공조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지난 2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의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조달청과 특허청은 혁신기술·제품의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조달 플랫폼 구축·운영과 혁신조달제도 운영에 협력하기로 했다.
![]() |
▲조달청과 특허청은 혁신기술·제품의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혁신조달제도 운영에 협력하기로 했다.ⓒPixabay |
우선 조달청은 특허청이 제공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유사 특허 검색 경험과 국·내외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수요기관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혁신제품과 기술을 찾을 수 있도록 AI 기반 혁신조달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 특허청의 전문가 네트워크(특허거래전문관 등)를 활용해 혁신조달 플랫폼을 통해 혁신역량 보유 기업과 수요기관 간 연결을 지원, 혁신 수요-공급 간 비대칭을 해소할 예정이다.
조달청과 특허청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혁신조달제도 운영 시 특허 전문가를 활용해 혁신조달 방안의 기술 전문성을 강화하고, 혁신 시제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조달청과 특허청은 ‘조달 대체 가능여부 판단 가이드라인’을 제공·활용해 발명특허제품의 공공조달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발명제품의 공공조달 수의계약 요건인 ‘대용품이나 대체품이 없는 경우’의 판단을 도와 혁신적인 발명제품이 공공조달시장에 원활히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무경 조달청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조달청과 특허청이 혁신조달 플랫폼 구축 등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서로 협력할 수 있게 됐다”며 “혁신조달플랫폼, 혁신 시제품 시범구매제도 등을 통해 그간 공공조달시장에 진출이 어려웠던 혁신기술·제품의 판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으로 인해 혁신적인 발명이 공공조달이라는 든든한 시장을 만나 사업 초기의 위기를 극복하고 혁신을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특허청이 보유한 우수한 특허검색 기법, 전문가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조달시장에서 정보 비대칭의 해소를 지원하고, 혁신 시제품과 지식재산권의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