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키움 측 ‘그룹 승계과정서 증여세 내려고’ 해명에 이미 증여...진상규명 필요
SG증권발 주식 폭락 피해 투자자들, 집단소송 준비…대건 “피해액 500억 추정”
시민단체 “대량매도는 주주들에 대한 정면 배신이거나 금융예측능력의 부재”
![]() |
▲ SG증권에서 매물이 출회된 주가 폭락 사태와 관련 키움증권이 주목을 받고 있다. 주가 조작 의혹의 주범으로 지목된 인물이 키움증권발 반대매매가 이례적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특히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우측 상단 사진)의 지분매각까지 언급해 시장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사진=newsis)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매도 사태로 다우데이타, 삼천리 등 8개 종목에서 사흘 간 7조 4000억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이들 종목은 최근 1년 새 4~5배 폭등했다가 무더기로 급락해 주가 조작 세력 개입 의혹이 제기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검찰이 주가조작 용의자를 특정하고 10명을 출국금지 조치한 상태이다.
지난 24일부터 SG증권에서 대량 매물로 인해 일부 종목의 주가 폭락 사태가 이어지면서 금융당국은 이른바 작전세력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 조사에 나선 상태다.
이런 가운데 주가 폭락 직전의 고점에 다우데이타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한 다우키움그룹 김익래 회장에게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김 회장은 지난 20일 주당 4만 3245원에 다우데이타 주식 140만 주를 매도했다. 이후 불과 6일 사이에 다우데이타 주가는 하한가를 거듭 기록하며 1만 5000원까지 폭락했다. 하락폭은 무려 65.3%으로 다우데이타 주주들은 자산가치가 곤두박질쳤지만 김 회장은 400억 원 가량을 아낄 수 있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 “자녀들 주식 중여세 재원 마련 위해 매도” VS “총 200만 주 다우데이타 주식 이미 증여 설득력 떨어져”
28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SG증권발 매도 사태와 관련 금융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이번 사태를 부른 것으로 차익결제거래(CFD) 반대매매가 유력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CFD는 주식 등 투자상품을 실제로 보유하지 않으면서 가격 변동에 따른 차액만을 결제하는 파생상품이다. 최대 2.5배의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지만 그만큼 청산에 대한 위험도 존재한다. 한 번 주가가 급락하면 증권사는 손실을 막기 위해 CFD를 청산하고 이는 다시 주가를 떨어트리는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외국계 증권사인 SG증권이 CFD를 취급하지만 투자자들은 국내 증권사를 통해서 CFD계약을 주문한다. 키움증권은 SG증권의 창구 역할을 했다”며 “구체적인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국내 주식시장 점유율 1위인 키움증권이 관여한 CFD계약의 규모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도덕적인 책임과 의무를 지는 대주주로서 대량 매도가 불러올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다우키움그룹 측에 따르면 김 회장은 2021년 그룹 승계 과정에서 자녀들에게 주식을 증여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증여세 재원 마련을 위해 이번 매도가 이루어졌다.
이에 대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김 회장의 자녀들이 총 200만 주의 다우데이타 주식을 이미 증여받았다는 점에서 김 회장이 증여세 납부까지 대신해 주기 위해 대량의 주식을 처분했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게다가 이런 해명은 주주들에게 끼칠 막대한 손실에 대해서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말이 된다. 다수에게 경제적 손해를 미칠 힘을 가진 대주주의 책임에 대해 아무런 의식이 없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고 꼬집었다.
이어 “SG증권발 매도 사태와 관련해 키움증권 내부에서 미리 낌새를 알아채고서 원활한 그룹 승계를 위해 폭락 이전에 주식을 대량 처분했는지 사실관계 파악이 필요하다”며 “만약 미리 알아챈 것이라면 주주들을 면전에서 직격한 꼴이다. 하지만 매도 사태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더라도 키움증권이 위험상품인 CFD를 취급하는 규모를 고려했을 때 대량매도가 불러올 파장을 예측했어야 한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어느 쪽이든 금융사로서의 자질이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정보를 통해 폭락 직전 물량을 떠넘긴 것인지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금융당국의 철저한 조사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를 일으킨 주가 조작 세력에 투자했다가 손해를 본 투자자들이 집단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법무법인 대건은 지난 26일부터 이번 사태와 관련한 피해 사례를 모집 중이며 서울남부지검에 고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건 측에 따르면 피해 규모는 5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까지 참여 의사를 밝힌 투자자 가운데 투자 손실만 100억 원이 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대다수가 10억 원 이상 손실을 봤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