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채혜린 기자] 정부가 메모리 편중구조에서 벗어나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해 종합반도체 강국 5대 중점대책을 수립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의 중점대책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파운드리 세계1위, 팹리스시장 점유율 10% 달성, 2만7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산업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반도체 수요가 PC·모바일에서 자동차, 로봇, 에너지, 바이오 등 전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시스템반도체(데이터연산·제어기능) 수요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산업은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구분되는데 시스템반도체는 스마트폰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나 5G모뎀 등에 활용된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 30일 경기도 화성 삼성전자 DSR에서 열린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 참석한 모습. |
산업부는 “시스템반도체는 현재 미국이 압도적 시장점유율 1위(70%)를 차지하고 있고 대만과 중국 등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자칫 국내 수요 시장도 해외 메이커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에 대비해 공공수요 2600만개·2400억원 이상 발굴, 5G와 시스템반도체 연계 등 대대적인 수요창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1000억원 규모의 전용펀드를 신설하고 46억원 수준의 반도체 설계툴을 지원하며 디자인하우스 육성, 팹리스의 파운드리 공정 활용확대 등 정부-업계 공동으로 상생협력의 생태계를 조성한다.
이어 연·고대에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해 학·석·박/실무 등의 전문인력을 2030년까지 1만7000명을 양성한다.
또 AI 반도체 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개발에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 투자하고 국가 핵심기술의 해외유출방지 시스템도 정비한다.
산업부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시스템반도체 업계간담회를 통해 파악한 업계 요청사항으로는 공통적으로 전문인력 확보와 투자였다.
업계는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설계능력이 경쟁력의 핵심인 만큼 후발국 추격과 함께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로 공격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일례로 반도체 설계 업체들인 팹리스는 기술력이 있어도 판로가 없어 정부에 국내외 시장과 판로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산업부는 “고가 설계툴인 팹리스업계의 초기 진입장벽을 극복하고 대대적 수요창출을 위해 팹리스 기업이 스타트업에서 중견, 대기업까지 성장하는 사다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4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을 통해 2030년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5대 중점대책 등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
이를 위해 산업부는 팹리스-수요기업간 협력 플랫폼인 얼라이언스 2.0을 구축해 지난달 30일 발족하고 얼라이언스에서 발굴된 유망기술은 정부 R&D에 우선 반영할 예정이다. 여기에 년 3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전문인력 양성으로는 오는 2021년부터 연세대와 고려대에 기존정원외로 연 80명의 반도체 계약학과와 시스템반도체 전공트랙을 신설한다해 학사 인력으로 34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계약학과는 등록금을 지원하고 졸업 후 채용우대 등을 한다.
석·박사 인력은 2030년까지 4700명을 양성한다. 이어 안성에 위치한 폴리텍대확을 반도체 특화형으로 전환해 실무교육을 통한 인력을 8700명 양성한다. 이를 위해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반도체 설계교육센터(IDEC) 지원을 확대한다.
반도체 개발에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 투자도 하지만 해외기술유출방지에도 힘쓴다.
산업부는 “과기정통부와 합동으로 인공지능, 자동차, 바이오 등 유망기술에 대해 향후 10년간 1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의 경우 2020년부터 2029년까지 4800억원을, 산업부는 2020년부터 2026년까지 520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부는 “최근 5년간 R&D 예타사업 중 1조원 규모를 넘은 경우는 이번 사업이 처음”이라면서 “국가핵심기술이 포함된 정보는 비공개를 추진하고 5G 통신 모뎀칩 설계기술 등을 국가핵심기술에 신규 포함하는 등 시스템 정비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