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지난 9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사저에 딸린 경호시설 규모를 1788㎡(541평)이라고 발표했다. 경호처가 이번에 퇴임 후의 이 대통령 경호를 위해 부지 2143㎡(648평)를 매입한 것이 너무 크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오자 이같이 비교 해명한 것.
하지만 김경수 노무현재단 사무국장은 11일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려 “봉하마을 경호시설이 350평에서 541평으로 둔갑했다”며 청와대의 발표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국회 운영위원회의 지난해 대통령실 예산안 검토보고서를 보면,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 경호시설 부지는 3필지 1157㎡(350평)다. 청와대가 실제 1788㎡보다 631㎡를 부풀려 발표한 것이다.
김경수 사무국장은 이날 트위터에 “더 큰 문제는 경호처가 해명과정에서 봉하마을의 경호시설 부지 면적을 541평이라고 밝혔는데, 봉하마을에 경호처가 소유하고 있는 부지는 350평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도 이상해서 봉하에 있는 경호팀을 통해 (청와대) 경호처에 확인해보니 해명이 가관”이라며 “봉하의 경호관들은 근무를 마치고 퇴근하면, 봉하마을에서 차량으로 10여분 거리에 있는 진영읍내에 아파트로 간다. 30평형대 아파트 6채를 포함해서 541평이라는 얘기다”라고 전했다.
김 사무국장은 “그렇게 해서 350평이 541평으로 둔갑했다”며 “서울에서 근무하는 경호관들은 대부분 청와대 옆에 있는 경호처 관사에서 출퇴근한다. 그럼 다른 전직대통령 경호시설 면적에 그 관사도 포함시켜야 되는 것 아닌가?”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내곡동 648평이 너무 커서 부담스러우니 어떻게든 비슷하게 만들어 볼려고 한 경호처의 애처로운 노력이 눈물겹다”며 “그래도 이건 아니다. 눈 가리고 아웅이고,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라고 일침을 가했다.
끝으로 “그냥 솔직하게 해명하고 맞을 일이면 한대 맞고 넘어가면 될텐데...어째 매번 이런 식으로 하는지 참 이해하기 어려운 정부다....쩝..”이라고 힐난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