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정몽준 후보간 단일화는 대선 승리를 이끌어 냈지만 향후 동행에는 실패했다. 이는 정 후보의 단일화 파기선언으로 이어졌고 집권 이후 공동으로 추진할 가치와 정책 등에 대한 공고한 결집력이 없어졌다.
하지만 이번 문 후보와 안 후보의 단일화는 이런 실패한 절차를 밟지 않으려고 향후 문 후보와 안 후보의 역할을 나눌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문 후보와 안 후보는 2002년 대선 당시 노 후보와 정 후보간의 '인물연대'를 넘어 정책에 의한 '가치와 철학의 연대'를 매개체로 하고 있다.
이미 문 후보는 '세력간 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단일화 이후 협력 방안을 위한 필요성을 역설했고, 안 후보 역시 지난 5일 전남대 강연에서 '국민연대'라는 표현을 통해 연대ㆍ연합론으로 가야한다는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현재 안 후보 측은 '국민연대' 발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특별하게 밝히지는 않고 있다. 이날 안 후보 측 관계자는 연합론에 대해 "새 정치를 하고 싶은 사람은 다 참여하라는 것"이라며 "민주당도 연대의 대상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원론적인 입장만 내보였다.
여야 등 정치권에서는 안 후보 측이 민주통합당 입당을 포함한 정책연합, 세력 간 연대 및 공동정부 구성, 신당 창당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갖고 임하지 않겠냐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정치권의 시각은 안 후보의 출마 선언 전부터 민주통합당 내에서 여러각도로 제기됐으나, 안 후보 측이 '정치공학적'이라고 반발하며 거리를 뒤 사실상 탄력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여야 국회의원들의 탈당 입당설이나 대선 이후 신당 창당설 등이 제기될 수 있어 확실하게 눈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이는 단일화에 의한 대선 승리가 효과적으로 대선 승리 이후 집권 상황에 다른 각도로 나타나 대비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이런 가운데 민주통합당은 안 후보의 세력 연대나 정책 연대 보다는 안 후보의 입당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는 문 후보가 후보 단일화가 되든 안 후보로 후보 단일화가 되든 여러 지지층의 표심을 온전히 흡수할 수 있고, 안 후보로 단일화가 되는 상황이 오더라도 지난해 박원순 후보에게 후보직을 내준 것 처럼 불임정당의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문 후보 측이 이날 단일화 협상에서 안 후보의 입당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안 후보가 이에 응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희박하다. 입당을 하더라고 시점이 지금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양측이 신당 창당에 의견을 모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안 후보가 대선 이후 자신의 세력을 모아 가설정당 형태의 정당을 만들고 민주통합당과 당 대 당 통합을 하겠다고 약속하면서 단일화가 이뤄질수 있다는 것.
이는 양측의 지지층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실상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하지만 안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한 채 자신만의 국민후보론을 내세우며 대선을 돌파한 뒤 민주통합당의 일부 세력을 자신의 세력과 결합시키는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민주당 측은 당의 분열을 이어질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배재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시나리오에 대해 안 후보 측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 후보와 안 후보는 이날 만남이 시대와 국민의 열망을 담는 상호신뢰와 원칙에 관한 합의가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의견을 같이할 만한 내용들이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배석자 없이, 시간 제한을 두지 않고 단독으로 이어지는 회동이어 철학, 단일화의 시기와 방식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할 수도 있어 향후 회동 결과에 귀추가 쏠리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