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CJ그룹(회장 이재현) 계열사 CJ제일제당(CEO 김철하)이 자사 의약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의사 1명 당 최대 1억 원한도의 ‘법인카드’를 제공한 것이 적발돼 의료계와 제약계가 들썩이고 있다. 앞서 동아제약도 리베이트가 적발, 관계자와 의사들이 줄 소환된 바 있다. CJ제일제당은 경찰수사에서 드러난 수십억 원대 리베이트에 대해 “일단 경찰과 검찰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영업활동은 ‘업계 관행’중 하나로 다소 억울하다는 모양새다. 업계 역시 쌍벌제 등의 리베이트 규제 방향에는 공감하면서도 현실과 동떨어진 기준이 오히려 영업활동 영역까지 방해 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일요주간=이 원 기자] CJ제일제당이 자사 의약품 처방을 조건으로 수십억 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해 관련 업체 임직원과 사건에 연루된 의사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27일 서울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전국 266명의 의사에게 45억 원 상당의 제약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약사법 위반)를 들어 CJ제일제당 영업총괄 상무 지 씨(50)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하는 한편 관련 임직원 14명도 같은 혐의로 입건했다.
지 씨 등 임직원들은 지난 2010년 5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22개월 동안 "자사 의약품을 써달라"는 조건으로 회사 법인 카드를 신규발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해 쌍벌제가 시행된 후 해당 법인카드는 전량 수거, 폐기처분됐으나 카드를 받은 266명의 의사들이 사용한 금액은 총 43억 원에 이른다.
특히 경찰 수사결과 리베이트 제공자와 이를 받은 의사 모두 처벌되는 내용을 담은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되기에 앞서 대규모 '리베이트 마케팅'도 벌여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 씨 등은 자사에 대한 처방액이 많거나 우호적인 의사 등을 중심으로 일명 '키 닥터'를 선정해 이를 법인카드를 발급해줬다.

그러나 '쌍벌제' 시행 이후에도 불법적 리베이트는 여전히 계속됐다. 회사 카드를 갖고 있을 경우 적발될 가능성을 염두해 전국 각 지역의 지점장들 개별 법인카드를 주말 직전 건넨 뒤 찾아오는 교묘한 방식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것.
이 시기 동안 의사들이 사용한 금액을 정산한 결과 2억 원 규모로 확인돼 CJ제일제당의 리베이트 규모는 총 45억 원에 이르렀다.
경찰은 이번에 적발 조치된 제약회사 법인을 입건하는 한편 범죄 사실을 담당 부처인 보건복지부에 통보,약 가격에 대한 적정성 심사를 요청할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