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지혜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연이은 노동자 사망사고로 ‘안전불감증’ 논란에 휩싸였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7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A안벽에서 컨테이너선 건조 작업 중이던 하청 노동자 B(19)씨가 26m 아래 바닥을 추락해 숨져있는 것을 동료 직원이 발견했다.
앞서 지난달 15일에도 하청 노동자 C(23)씨가 공사현장 블록에 깔려 사망했으며 2012년 11월에는 특수선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40대 정규직 노동자 D씨가 구조물 사이에 깔려 숨졌다.
이처럼 최근 들어 대우조선해양 공사 현장에서만 무려 3건의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2010년과 2011년 ‘산재사망 대책마련을 위한 공동캠페인단’이 선정한 최악의 살인기업으로도 꼽혔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아 여전히 안전관리감독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조선하청노동자연대, 대우조선 하청노동자조직위원회, 노동건강연대 등 단체들은 최근 보도 자료를 통해 “이제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B씨가 조선소의 고되고 위험한 조선소 노동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장에서는 더 빨리,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노동자에 대한 충분한 안전교육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작업도 혼자서 진행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앞서 1월에 발생한 사고는 사고 위험이 감지 됐음에도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했으며 블록탑재과정에서 가용접을 시공도면과 다르게 절반밖에 하지 않았고 외판 지지내도 설치하지 않았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11월 사고는 표준작업지시서도 준비되지 않은 작업을 무리하게 강행하다 발생한 사고”라며 “대우조선해양은 해양 플랜트 100억 달러 수주를 자랑스럽게 얘기해지만 많아진 물량만큼 노동자 안전은 뒷전이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충분한 안전조치가 이뤄졌다면 노동자들은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노동자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대우조선해양과 그 책임자인 고재호 사장을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병재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조직위원회 의장은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대우조선해양의 하청안전관리시스템은 허술하다”며 “제대로 안전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교육이 실시되더라도 교육을 받았다고 사인만 하게 하는 등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자가 잇달아 사망하고 있지만 사측은 사건을 은폐하고 축소시키려고만 한다”며 “조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사망사고 책임자 처벌 촉구 기자회견과 함께 노동부 항의 방문 및 집중 집회를 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우조선해양 홍보팀 관계자는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올 들어 발생한 사건들은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기 때문에 어떠한 입장을 밝히긴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잇단 노동자 사망사고로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이 실시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확한 일정은 아직 미정”이라면서 “사내물품만 내려주는 운전기사까지도 안전교육을 시키고 있는 등 안전관리감독에 힘쓰고 있는 데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