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언론인 여러분’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제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서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자로 그동안 봉직해왔던 재단법인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을 물러나고자 한다”고 사임의 뜻을 전했다.
최 이사장은 박 대통령의 취임에 맞춰 이사장직을 내려놓는 것에 대해 “지난 대선 기간에 정수장학회와 관련된 근거없는 의혹이 일기도 했다”며 “그동안 이사장직을 지키고 있던 것은 자칫 저의 행보가 정치권에 말려들어 본의 아니게 정치권에 누를 끼치게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 이사장은 지난해 10월 MBC 관계자들과 정수장학회의 MBC 지분 매각과 공정방송을 강조해온 노조를 무력화 시키려는 계획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전국언론노조로부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됐으나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또한 정수장학회는 고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강탈해 설립된 ‘장물’이며 박 대통령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의해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논란이 됐었다.
김지태씨의 유족은 정수장학회를 상대로 소송을 냈으나 재판부는 증여 의사 표시가 강압에 의한 것은 인정했으면서도 시효가 지나 반환 청구를 할 수는 없다고 판결했다.
부산일보는 정수장학회가 사회로 환원되야 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가 발행이 중지되는 사태를 겪었다.
최 이사장은 “정수장학회는 엄연한 공익재단”이라고 강조하며 “혹시라도 본의 아니게 누를 끼쳐 드린 일이 있었다면 모두 용서하고 이해해달라”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정수장학회가 젊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꿈을 이뤄주는 본연의 임무를 이어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최 이사장이 자리에서 물러난 것에 대해 부산일보와 MBC 김지태씨의 유족 등은 각각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유족들은 “관리인이 물러난 것일 뿐”이라며 장학회가 사회 환원되야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정수장학회가 3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MBC 측은 “이사장의 사임만으로 특별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단하기 어렵다”며 평가를 유보했다.
또한 정수장학회가 100%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부산일보는 “박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대타협을 하려는 신호로 받아들인다”라는 측과 “향후 상황을 예상하기 어렵다”는 측으로 나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