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리 공기업의 두 얼굴
투자 순위 조작·입찰 특혜 대한광물 ‘밀어주기’ 의혹
부당내부거래 1억 원대 비자금 조성…김영한 대표 책임론 대두
검찰이 한전산업개발(주)의 김영한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급 간부들에 횡령 및 배임 의혹으로 내사에 착수했다. 고발자는 한전산업개발의 감사 A씨로 검찰은 한전산업개발의 대한철광 투자순위 조작, 대한광물 선광장 특혜 의혹 및 원일산업개발과의 부적절한 내부거래에 수사의 초점을 맞췄다. 특히 연이은 적자행진에 김영한 대표이사의 자질 논란도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요주간= 이 원 기자] 한전산업개발(주)는 (주)한국자유총연맹이 31%, 한국전력이 29%의 지분을 보유한 회사로 전력량 검침 및 청구서 발행 등의 관련 업무는 물론 산하에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 중에 있다. 고발 대상에 오른 김영한 대표이사는 연이은 적자행진에도 불구하고 선광장 건설에 앞선 입찰 당시 특정업체에 특혜를 준 혐의(업무상 배임)는 물론 비자금유용을 위한 자회사(한산산업개발)를 운영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투자 순위 조작 의혹
한전산업개발(주)는 지난 2010년 대한광물자원공사와 대한철광과 합작, 당시 철광석 및 희토류 개발을 위한 사업체인 ‘대한광물’을 설립했다. 당시 대한철광은 양양광업소를 인수하며 사업의 토대를 마련했다. 문제가 된 부분은 공기업인 대한광물자원공사의 투자를 위해 당시 대한철광의 투자 순위를 조작했다는 의혹이다.
공기업에서 투자 진행을 위해서는 업계 투자 순위 25위에 안에 들어야만 가능하다. 2010년 대한철광의 투자 순위는 25위에 한참 못 미치는 순위였으나 당시 대한광물자원공사의 투자 유치를 받으려고 조작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여기에 투자를 받은 대한광물자원의 집행비가 과다 집행됐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대한광물자원은 양양광업소 선광장 제작 및 설계비용으로 책정한 금액은 52억 원이었으나 인수 후 이듬해인 2011년 투자비용을 97억9,000만원까지 올렸다. 결국 2배에 가까운 과다집행이 이뤄진 게 아니냐는 것.
한전산업개발은 초기에 투자하지 못한 골재생산라인, 전기시설 등이 증축되면서 비용이 늘어났다지만 비용의 증액이 큰 만큼 과다집행 의혹은 씻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와 함께 주가조작 의혹도 받고 있다. 코스닥 상장 직후인 2011년 1월 당시 철광석과 희토류에 대한 가치 상승이 언론 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양양광업소를 인수한 한전산업개발(주)의 주식이 4배까지 올라갔다. 최대 주주인 자유총연맹은 당시 14,000원까지 오른 한전산업개발(주) 주식을 매각해 300억 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얻은 바 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한전산업개발(주)의 주식은 추락했고 시장에서는 실제 가치와 시장기대치의 차이를 제대로 공시하지 않은 채 주식의 부적절한 가치상승을 부추겼다는 비난이 나오기 시작했다.
당시 한전산업개발(주)은 공시와 관련해 합작업체인 대한광물 측의 일방적인 공시라며 떠넘기며 논란을 억지로 가라앉히려 했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점은 실제 양양광업소의 추락한 경제적 가치이다. 최근 2년 간 공시를 살펴보면 매출액(5.8% ↓)과 영업이익(12.5% ↓), 당기순이익(26억 원) 모두 추락 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광물 선광장 입찰 특혜?
뿐만 아니라 양양광업소의 선광장 설계 업체 선정 당시 입찰 특혜가 있었다는 것에 검찰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업계는 진정서 등을 통해 특혜 의혹이 꾸준히 수면 위로 올라왔다고 의견을 모으고 있다.
선광장 설계 입찰 당시 대한광물에는 지엠테크날러지(이하 GMT)와 극동플랜트,광산기공이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접수 날짜는 대한광물은 GMT 측에만 극동과 광산기공 보다 이틀 뒤로 정했다. 더욱 의심스러운 부분은 입찰 공고에 나왔던 사업 방식은 ‘건식’으로 공시됐으나 이후 공고와는 달리 ‘습식’으로 사업 방식이 변경된 부분이다.
결국 ‘건식’과 ‘습식’ 2가지로 입찰제안서를 제출한 GMT가 입찰에 성공했고 사업 방식도 변경됐다. 업계는 GMT가 사업 방식이 변경된다는 사실을 미리 입수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내놨다. 그도 그럴 것이 제안서 제출도 2일이나 늦은데다 공시 당시 사업 방식과 다른 것을 준비했다는 것에 대한광물 측의 ‘밀어주기’ 특혜라는 비난을 받았다.

비자금·부당내부거래까지
내부 감사실에 따르면 한전산업개발(주)의 자회사인 한산산업개발과 원일산업은 양 사 거래 중 1억 여 원에 이르는 비자금 조성한 상황도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친인척 관계에 있는 기업에 운송 일체를 맡겨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산업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원일산업 측은 사측이 채석한 골재원석을 한산산업개발이
매수하는 형태로 2010년 3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약 7억여 원의 부당이익을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원일산업이 제품 출하 현장에서 직접 현금으로 한산산업개발 측과 거래 해 자금을 조성했으며 현장 점검 역시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은 것도 미심쩍은 부분이라는 것이다.
이에 한전산업개발 측은 “한산산업개발과 원일산업의 내부 감사를 통해 관련 임직원을 이미 해임 등의 조치를 마친 상태”라며 일축했다.
이렇듯 한전산업개발이 계열사 잦은 비리에 적자까지 악재가 겹치자 결국 현 김영한 사장에 대한 책임론이 수면 위에 떠올랐고 최대주주인 자유총연맹은 기업 매각을 결정했다. 현 한전산업개발은 지난해 말 기준 자산 131억8,300만원, 부채 152억 원으로 이미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