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쟁업체인 매일유업의 비방광고로 소송을 당한데 이어 서미갤러리의 미술품 구매를 둘러싼 비자금 조성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생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있다는 지적에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핵심기조인 경제민주화를 역행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난까지 일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매일유업은 자신들의 업무를 방해하고 명예훼손한 혐의로 지난달 6일 남양유업 판촉사원을 고소했다.
매일유업은 고소장에서 “남양유업 대구지점 상담원 최모(42)씨는 2월 대구 지역의 산후조리원과 산부인과의 불특정 산모들에게 전화를 걸어 ‘매일유업 제품에는 유해물질이 들어있으니 그 제품을 보내주면 우리 회사 새 제품으로 교환해주겠다’며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찰은 같은달 25일 남양유업 대구지점을 압수수색 해 최씨가 사용한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최씨가 산모들의 전화번호를 입수한 과정과 최씨의 전화가 본사와의 지시로 이뤄졌는지 여부 등을 집중 추궁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이번 사태에 대해 “2010년 매일유업 분유에서 대장균이 발견됐다는 식약처의 보도가 있었다”며 “허위사실이 아닌 내용으로 마케팅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텔레마케팅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라며 “본사 차원의 지시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의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에도 매일유업은 남양유업의 직원이 자사의 분유에서 유해물질이 나왔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려 고소했다.
이에 남양유업이 맞고소하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번졌지만 결국 두 업체는 비방전을 자제하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졌다.
4년 만에 이들 기업 간에 제품을 둘러싼 비방 논란이 재현돼 남양유업의 대응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남양유업은 또 서미갤러리의 검찰 수사로 구설수에 올랐다.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지난해 9월부터 4개월간 서미갤러리에 대한 특별세무조사를 벌인 후 올해 2월 홍송원(60) 서미갤러리 대표를 검찰에 고발했다.
홍송원 대표는 2007년부터 남양유업과 오리온, 대상 등 대기업과 미술품 거래를 하면서 수십억원의 법인세를 포탈한 혐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 동안 서미갤러리는 2008년 삼성의 비자금 수사에서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행복한 눈물’을 거래하면서 삼성의 비자금을 세탁해줬다는 의혹을 받았으며, 2010년에는 오리온 그룹의 비리 의혹 수사에서, 2012년에는 솔로몬·미래저축은행 수사에서 홍송원 대표와 이들 간 거래가 드러난 바 있다.
이처럼 서미갤러리와 관련된 대기업들은 비자금을 조성해 온 데에 관여해 온 것 아니냐며 온갖 의혹이 제기돼 왔던 만큼 남양유업도 비자금 수사로 까지 이어질 지 검찰 수사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홍원식 회장님이 예전에 서미갤러리와 거래를 해온 것은 맞다”면서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회장님이 검찰에 미술품과 관련된 수사를 받거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설명했다.
이 뿐만 아니라 남양유업은 동생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있다는 비난에도 휩싸였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동생인 홍우식 서울광고에게 일감의 대부분을 몰아주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광고는 홍우식 대표가 지분율 89.9%를 갖고 있으며 나머지는 홍 대표의 자녀 등이 소유하고 있다.
서울광고는 남양유업과의 거래 비중이 2003년 50% 정도였지만 2004년부터 비중은 점차 늘어 무려 99%에 달하고 있다.
이처럼 서울광고는 현행법상 남양유업의 계열사는 아니지만 동생이라는 친족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일감몰아주기가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일감 몰아주기가 박근혜 정부의 정책 기조인 경제민주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시민단체들도 친족회사에 대한 부당지원행위에 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어 남양유업의 친족거래에 대한 비난은 쉽사리 가라앉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남양유업 관계자는 “일감 몰아주기는 지분을 공유하고 있거나 계열사 관계에서 부당하게 발생한 이익을 챙겨주는 것을 말한다”며 “서울광고와 남양유업은 이와 관련한 어떠한 연관도 없는 회사이기 때문에 일감몰아주기 의혹 제기 자체가 잘못된 것”라고 해명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