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세입경정 12조원(국세수입 6조원, 세외수입 6조원)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는 경기 하락을 반영했다기보다는 본예산 편성 시 낙관적으로 계상된 세입예산을 수정하는 의미가 상당 부분 포함돼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지난해 10월 예산안 편성 시 4.0% 성장을 전제로 했지만 같은 해 12월에 3.0%로, 지난 3월에는 2.3%로 발표해 5개월 동안 3차례 경제전망을 하향 조정했다"며 세입예산 계상과정에 문제가 있음을 꼬집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추경의 효과에 대해서도 "기금자체변경을 포함한 세출확대 7조3000억원(기금자체변경 제외 시 5조3000억원)은 경제성장률을 0.3% 제고시킬 것으로 추정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구축효과로 내수부문이 약화되는 부작용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불어 "추경예산안의 재원을 국채발행(15조8000억원)을 통해 조달한다는 점에서 금리상승 등으로 민간부문을 위축시키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또 "국가채무는 관리재정수지 적자폭 확대에 따라 2014년 523조2000억원에서 2016년 609조5000억원으로 증가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36.1%(2013년)에서 38.4%(2016년)로 확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