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는 이날 이사회를 열어 김 사장을 신임 MBC 사장으로 내정했다. 방문진 이사회는 김 사장을 비롯해 구영회(60) 전 MBC미술센터 사장, 안광한(57) 부사장, 최명길(53) 유럽지사장 등 후보자 4명을 상대로 각 1시간씩 면접을 진행했다. 이후 투표를 통해 김 사장은 이사진 9명 가운데 5표를 얻어 사장에 임명됐다.
그러나 전국언론노동조합은 ‘김재철 라인’으로 분류되는 김종국 사장이 내정된 데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의 김종국 사장 선임은 김재철 전 사장을 다시 사장으로 선임한 격”이라며 “지난 이명박 정권에서 불거졌던 언론 장악 논란이 필연적으로 재현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영방송 MBC를 정상화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는 것.
전국언론노조는 “김종국 사장은 김재철 전 사장과 결탁해 공영방송의 가치를 훼손하고 ‘김재철 체제’가 유지되는데 적극 가담했던 인물이다. 김재철 전 사장과 함께 진주•마산MBC 통폐합을 주도했고 그 과정에서 노조간부 2명을 해고하기도 했다”며 “앞으로 국민적 저항에 따른 MBC 파행의 모든 1차적인 책임은 방문진에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종국 신임 사장에게는 “‘김재철 체제’를 연장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포기하고, MBC 정상화를 위한 새 출발을 선언하라”고 촉구했다. 해직자 8명의 복직과 징계자 200여명의 원상회복, 노조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 취하, 보도•제작•편성의 자율성 보장 등도 요구했다.
전국언론노조는 “김종국 사장이 김재철 전 사장의 전철을 밟고 해직자 복직과 같은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사장 퇴진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MBC노조 또한 “임기가 9개월 남짓에 불과하고, 내년 2월에 또 다시 사장 선임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 발목을 잡히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단 하루 MBC 사장직을 수행하더라도 공영방송의 독립을 이룩해 국민에게 사랑받는 회사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는 것이 김종국 사장의 소명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 사장은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MBC 보도국에 입사했다. LA 특파원과 경제부장, 정치부장, 기획조정실장, 마산MBC•진주MBC 겸임사장, MBC경남 초대 사장 등을 지냈다. 임기는 내년 2월까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